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에 있어서의 문학수업 방법론 -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봇짱(坊っちゃん)」을 중심으로

  • 160
054513.jpg

&nbsp;&nbsp;본 연구의 목적은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봇짱(坊っちゃん)」의 문학수업 실례(實例)를 통해 현재 고등학교의 일본어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문학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일본에 관한 관심을 고취시키며 이문화(異文化)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BR>&nbsp;&nbsp;문학작품을 통해 외국어 학습을 하면 상황과 아울러 언어를 익히게 됨으로써 단순히 단어 암기하는 것 보다 훨씬 다양한 어휘와 용법을 확대할 수 있는 언어기술을 갖출 수있고, 고등학교 일본어 교사들도 문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일본어 교육 연구자는 문학수업을 위한 교재의 연구와 개발에 힘쓸 필요가 있겠다. 이에 나쓰메소세키(夏目漱石)의「봇짱」을 통해 문학수업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BR>&nbsp;&nbsp;먼저,「봇짱」은 성장소설이며 대중성, 문학성, 오락성을 가지고 있어 학습자의 발달특성에도 부합될 뿐만 아니라 흥미로운 소재이므로 선정하게 되었다. 내용학습은 1차시: 조편성 및 소제목별 정독 → 2차시: 소제목별 내용을 구성원에게 이야기 및 한 편의 내용 완성 → 3차시: 지그소우 학습 형태로 조(組)재구성 및 각 편의 내용을 이야기하여 전체내용 완성 → 4차시: 작가에 대한 학습과 전체 내용에 대한 조별 토론 및 발표 → 5차시: 개별 감상문 쓰기 및 동료의 의견 들어보기의 순서로 진행한다. 모둠별 학습방법은 먼저 소제목별 조(組)로 구성하여 각 구성원이 한 개씩의 소제목을 읽고 조 구성원에게 내용을 들려주고, 다시 지그소우학습 형태로 조(組)를 재편성하여 1편부터 6편까지 감상하는 방법을 취했다. 감상발표는 조별토론 감상과 개인별로 감상문을 쓰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BR>&nbsp;&nbsp;5차시의 문학수업 결과, 시간부족으로 인한 충분한 동기부여와 감상시간의 미확보, 모둠별 학습에 미숙, 실업계 학생 대상의 문제점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문학수업의 효용성〉에 대한 설문결과 불만 및 개선사항을 ‘자기 몫의 부분을 읽어오지 않은 우리들의 태도개선’에서 찾았으며, 이번 문학수업을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일본문학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앞으로의 문학수업은 정해진 학습 진도에 크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시간확보가 우선되어야 하고, 강의식 학습과 개별 학습의 잇점을 최대한 살려 학습자가 충분히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1. 들어가며<BR>2. 문학수업의 실례(實例)<BR>3. 마치면서<BR>參考文獻<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