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ole of America in early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that absolutely depended on the aid granted by America. The early studies drew conclusion that America was very important in Korean economic development. This paper examined it by analysing two factor of economic growth: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export-led industrialization strategy. Two conclusions is gotten.<BR> Firstly, America in Korea economic development played the role of two sides. On the one hand, America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supplied development funds for Korea. Especially, Korea in 1950s and the first half of 1960s experienced the low standard of living. But Korea alone could not solve it because the development-driving resources were short. On the other hand, it restricted the scope of Korean development to a little sections. For example, America supported the build-up of consumer-goods industries instead of opposing the construction of basic industries such as fertilizer, steel, oil refinery, shipbuilding, and so on.<BR> Secondly, export growth in 1960s was due to policy transformation from import substitution to export orientation. Of course, America played the important roles of this transformation, but to more important was changing cognition on export and development-will of Korea Government.
목차
Ⅰ. 머리말<BR>Ⅱ. 대외경제관계와 미국<BR>Ⅲ. 경제개발계획<BR>Ⅳ. 수출주도공업화정책<BR>Ⅴ. 맺음말<BR>인용 문헌<BR>Abstract<BR>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한국언론을 통해 본 미국과 미국화 : 이미지와 담론
- 미국학(미국문화연구)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대하여 - 패링턴으로부터 신화상징학파, 새로운 미국학에서 다문화주의에 이르기까지
- 『미국학논집』 발간규정 외
- 해방 이후 한국에서의 소비와 미국화 문제
- 자유부인, 블랑쉬를 만나다 : 전후 한국여성의 정체성과 미국 드라마의 수용
- 한국(근)현대소설에 나타난 미국 이미지에 대한 개괄적 연구
- 특집호를 발간하며
- 전복과 변형 : 거트루드 스타인 시에 나타난 여성 모더니스트의 글쓰기
- 한국정치의 미국화 과정에 대한 분석과 조망 - 노무현 대통령의 최근 대연정 발언을 중심으로
- 한국의 경제개발과 미국, 1948-1965 - 경제계획과 공업화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과학 패러다임의 미국화 - 미국 근대화론의 한국전파와 한국에서의 수용을 중심으로
- 김용익의 『푸른 씨앗』에 나타난 주체 형성과 차이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