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0171.jpg
KCI등재 학술저널

中國의 圃隱學硏究

  • 45

중국 학계에서도 포은은 한국의 주자학 연구 과정에서 비껴갈 수 없는 학문적 대상으로 일정한 무게를 가지고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일차적인 자료의 부족 등 객관적인 연구 여건으로 말미암아 연구과정의 논리적 비약 역시 문제로 되고 있다. 포은의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四書, 五經, 程朱學은 물론 비교문학 등의 정밀한 지식과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그의 시, 문 등의 텍스트를 읽어가야 한다.

1.들어가기

2.圃隱의 性理思想

3.圃隱의 經世事功과 忠烈節義

4.李朝性理學의 傳統과 鄭夢周 理學의 宗祖的位相

5.나오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