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라마는 하나의 종교적 집단으로서 현대 이란 정치의 관여해왔다. 이란에서 시아 무슬림의 종교적 공동체가 정치적 정치적 공동체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시아 교리를 바탕으로 하는 민족적 동질성이 배양되어 왔음에 기인한다. 1501년 시아 이슬람을 국교로 채택한 사파비 페르시아 국가에서 울라마는 국가 권력의 지원하에 점차 독자적인 교리 개발은 물론 정치적 지위도 확보해나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울라마의 정치 참여에 대한 논의가 그들 내부에서 교리 해석상에 논란으로 발전하여 마침내 19세기 초기 아흐바리 학파에 대한 우슬리 학파의 승리로 무즈타히드에게 이즈티하드 즉 독자적인 권력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모든 무슬림 신자들을 구속할 수 있는 파트와를 발동할 수 있는 하나의 마르자의 타클리드라는 종교적 권력의 구심점이 구축되었다. 19세기 연초불매운동과 입헌혁명을 통해서 서구의 충격에 대한 대응으로 울라마가 민족의 기도적 세력으로 부상하였지만 서구 이데올로기 및 근대화의 가속으로 그들의 정치 사회적 역할이 그 당시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은 이란 정치사에 있어서 매우 특징적이다. 1979년 이란-이슬람 혁명을 통하여 울라마는 이란-이슬람 공화국을 건설하고 지금까지 이란-무슬림 국민을 통치하고 있다. 앞으로도 울라마는 시아 무슬림 공동체에서 이슬람과 국가를 수호하는 중추세력으로서 중요한 역학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Ⅰ.Introduction
Ⅱ.Shia and the Ulama's Political Thought
Ⅲ.Ulama's Role and Political Position
IV.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Ulama
V. Epilogue
References
국문초록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