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정신병질 유형분류 : 1차적 정신병질과 2차적 정신병질
Subtyping of Psychopathy-like Adolecents : Primary Psychopaths and Secondary Psychopaths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청소년상담연구(학술지)
- 청소년상담연구지 13권 2호
-
2005.12111 - 123 (13 pages)
- 186
본 연구는 정신병질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추측되는 청소년들이 그 성격특성에 따라 1차적 정신병질 집단과 2차적 정신병질 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외현적 자기애와 낮은 특성불안을 특징으로 하는 1차적 정신병질 집단과 경계선 성격, 내현적 자기애 및 높은 특성불안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적 정신병질 집단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적 정신병질 집단과 2차적 정신병질 집단은 아동기 경험, 학교나 가정에서의 부적응, 대인관계의 불안정성, 사회적 규칙이나 가치를 수용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 등의 문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2차적 정신병질 집단의 정신병질적 특성이 환경적 영향으로 발현되는데 비해 1차적 정신병질 집단은 선천적으로 타고난다는 Karpman(1948a)의 견해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예비적 증거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psychopathy-like adolescents could be subtyped as the primary psychopaths and secondary psychopath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deed the adolescents could be subtyped as such on the basis of the scores on the scales of the borderline personality, overt narcissism, covert narcissism, and trait anxiety. In addition, the two subtypes were different on the scores of the Socialization Scale that measures negative childhood experiences, poor school and family adjustment, unstability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general acceptance of social rules and values. In general, these results support Karpman's argument that the primary psychopathy and secondary psychopathy are etiologically different. However, for several rea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as preliminary evidence that supports the validity of subtyping psychopathy-like adolescents.
방법
-연구참여자
-도구
-절차
-분석
결과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