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출판·잡지콘텐츠의 본문검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rch Inside of books and magazines

  • 119
100473.jpg

우리나라에서 본문검색(Search Inside)은 도서의 경우 2004년 시작되었고, 잡지의 경우 2007년에 시작되었다. 본문검색은 포털사이트에게는 검색의 신뢰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방편으로 인식되었고, 출판사와 잡지사에게는 책과 잡지의 홍보효과를 높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포털사이트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본문 검색은 저작권상의 문제, 출판과 잡지시장의 위축, 베스트셀러와 인기 잡지에 의한 시장 집중 등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 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본문 검색 서비스가 초래할 문제와 파급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하기 위해, 최근 8년간 주요 베스트셀러와 인기 잡지를 대상으로 본문검색에 대한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상당히 많은 베스트셀러가 본문검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문검색이 제공되는 도서에서 국내도서와 번역도서간의 비중 차이는 없었으며, 인기작가의 작품도 많이 본문검색되고 있었다. 그러나, 잡지는 도서에 비해 본문검색이 덜 제공되고 있었다. 또한, 출판계와 포털의 심도깊은 논의로 초기의 문제점은 많이 해결된 편이나, 아직도 저작권상의 문제, 특정 포털에 의한 독식, 베스트셀러 위주의 계약 등은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본문검색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유저작물의 본문검색도 적극 추진해야 하며, 전자책도 더욱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The search inside of korean books has been started in 2004. Portal sites have expected an increasing credibility of the Internet search, and book publishing companies have expected a growth of the book market through the search inside. However the search inside led by the portal sites, has had the possibility to cause problems such as copyright issues, the shrinking of the book and magazine market, and the focusing on best-sellers and popular magazines. This paper aimed a scientific analysis of the search inside which might have caused big problem or good effect for book industry and magazine industry. For this purpose, best-sellers and popular magazines for last 8 year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Known now as opposed to, a significant number of best-sellers wer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search inside. Many korean writer's books and translated books were able to used the search inside services. But, popular magazines were less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search inside than books. For the future of the search inside services, the problems of copyright issues, being dominated by a specific portal and concentrated on best-sellers must be solved. In addition, the public documents should share the search inside services, and even more e-books should be provided for the activation of the services.

Ⅰ. 서 론

Ⅱ. 본문검색의 발전과정과 현황

Ⅲ. 출판·잡지 콘텐츠의 본문검색서비스 조사분석

Ⅳ. 본문검색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