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안보조약기구(CSTO)의 집단방위와 협력안보
Collective Defence and Cooperative Security of CSTO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인문사회과학연구
- 제17집
-
2007.09135 - 166 (32 pages)
- 253

소련의 붕괴 이후 탄생한 독립국가연합(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CIS)지역은 서방세력, 슬라브 세력, 이슬람세력들의 각축과 다양한 지․전략(geostrategy), 안보구조의 복합구조를 만들고 있다. 이 지역에는 기본적으로 미국을 주축으로 한 NATO와 CIS국가들과 평화동반자 관계(Partnership for partner: pfp), GUAM, 그리고 이에 대하여 러시아는 집단안보조약기구(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의 활동과 러시아-중국이 중심이 되는 상하이 협력기구(SCO)를 발전시키고 있다. 집단안보조약기구는 군사적인 부문의 협력 뿐 아니라 정치-외교적인 협력에 대하여 공동보조를 취하고, 자발적이라는 점, 내용면에서 인종분쟁, 마약 거래, 대 테러문제, 경제원조 등 평화유지와 국경 보호에 최우선적 목표가 된다는 점에 있어서는 공동 안보 레짐의 초기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집단안보조약 기구는 군사협력이 중심이 되고 있으나, 군사협력을 발판으로 하여 참여국들 간의 대외정책과 안보를 조정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유라시아경제공동체(Eurasian Economic Community)를 통하여 경제적인 통합을 가속할 것이다. 독립국가연합지역의 정치, 군사-안보, 경제적인 통합이 과거 소련시절 보다는 느슨할 것이나 러시아가 성장 동력을 유지하는 시기에는 강화될 것이다.
Area of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CIS) made various complex constitutions of geostrategy and security. The area have two security regimes, one is NATO, NATO`Partnership for partner and GUAM by Amerika , another is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 and SCO by Russia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CSTO) seeks the cooperation on military affairs, as well as on political -diplomatic areas. And in the content he takes measures on ethnic conflict, drug traffic, terror affairs, economic assistants in common. Also he seeks common security with the number states of participant and in this respect it is the first period of common security. Although, now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 is focused on military cooperation, in the future not only gradually adjusts foreign policies among states of CSTO, but also accelerates economic coordination through Eurasian Economic Community. In the last analysis, area of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may be strong on coordinations of political, military-security and economic affairs.
국문요약
Ⅰ. 머리글
Ⅱ. 독립국가연합지역의 안보구조
Ⅲ. 집단안보조약 기구의 현황과 전개
Ⅳ. 집단안보조약기구의 레짐(regime)적 특성
Ⅴ. 맺음글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