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간질의 원인에 따른 임상양상의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Underlying Causes of Childhood Epilepsy
- 대한소아신경학회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6권 제2호
-
1999.05299 - 305 (7 pages)
- 55

목 적 :본원에 소아 간질로 내원한 환아의 원인을 조사하여 증후성 간질로 진단된 환아들을 분류하고 간질의 가능한 원인 및 이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소아 간질로 진단한 30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특발성 및 증후성 간질로 분류하여 원인질환의 유무에 따른 임상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1) 총 309명의 환아중 특발성은 232명(75.1%)이었고 77명(24.9%)가 증후성이었으며 남녀 비는 각각 1.28 : 1, 1.48 : 1이었으며 첫 경련이 시작된 연령은 각각 3.24±5.65세, 2.40±2.86세였으며 증후성 간질에서 의미있게 낮은 연령을 보였다. 2) 증후성 간질의 원인은 주산기 장애 23명(29.9%), 중추신경계기형 21명(27.3%), 중추신 경계 17명(22.1%), 그 외 16명(20.7%)이었다. 3) 증후성 간질의 남녀비와 평균연령은 주산기장애 2.83 : 1, 1.91±2.64, 중추신경계기형 0.75 : 1, 2.35±2.92, 중추신경계 감염 1.43 : 1, 2.74±2.56이었고 세군 간 차이는 없었다. 4) 특발성 간질은 부분발작 46.6%, 전신발작 51.7%, 미분류 1.7%를 보였고 증후성 간질은 부분 발작 22.1%, 전신발작 71.4%, 미분류 발작 6.5%이었으며 증후성 간질에서 유의하게 전신발작의 빈도가 높았다. 5) 특발성 간질이 조절까지 걸린 시간은 146.5±148.7일이었으며 증후성인 경우 246.1± 247.6일로 증후성인 경우가 간질조절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고 증후성 간질의 중요세부원인에 따라서 주산기 장애 364.5±315.0일, 중추신경계기형 175.8±191.3일, 중추신경계 감염 199.9±215.3일이었고 주산기 장애가 있을때 유의하게 치료에 필요할 기간이 길었다. 원인유무에 따라 필요한 약물의 수는 증후성인 경우 유의하게 많은 약물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경련의 발현시기와 간질조절까지의 시간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소아의 증후성 간질은 중추신경계 기형, 주산기 장애, 중추신경계 감염이 대부분의 원인이었으며 저 연령에서 증상이 시작되며 전신발작이 많았고 간질 조절이 특발성 간질보다 잘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Purpose : Epileps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rbidities in childhood, but its underlying causes can not be found even though extensive studies have been done. Advances in diagnostic modalities, including neuroimaging such as MRI reveal the apparent underlying causes of epilepsies. Therefore, we evaluated specific causes of symptomatic epilepsy and compared clinical features with idiopathic epilepsy. Methods : Three hundred nine epileptic children visited the Pediatric Departme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1 to June, 1998. Of these, 79 patients were determined as symptomatic epilepsy and the analysis of various clinical features was undertaken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derlying causes. Results : Two hundred and thirty two patients(75.1%) were idiopathic and 79 patients(24.9%) were symptomatic, the ratios of male to female and the ages at the onset of first seizure were 1.28 : 1, 1.48 1 and 3.24±5.65, 2.40±2.86 years(p>0.05, p<0.05), respectively. Causes of symptomatic epilepsy in order of frequency were birth asphyxia(29.9%), CNS malformation(27.3%), CNS infection(22.1%) and others(20.7%). The ratios of male to female and onset age of birth asphyxia, CNS malformation, CNS infection were 2.83 : 1, 1.91±2.64, 0.75:1, 2.35±2.92 and 1.43 : 1, 2.74±2.56, respectively. Seizure types in symptomatic group were classified as partial seizure in 22.1%, generalized seizure in 71.4% and unclassified in 6.5%, compared with those of idiopathic group classified as 46.6%, 51.7%, 1.7%, respectively. Intervals between medication start and seizure control in idiopathic and symptomatic groups were 146.5±148.7 days and 246.1±247.6 days, repectively(p<0.05). According to their etiology of birth asphyxia, CNS malformation and CNS infection were 364.5±315.0 days, 175.4±181.6 days, 199.9±215.3 days, respectively(p<0.05). Conclusion : CNS malformation, birth asphyxia, CNS infection were main causes of symptomatic epilepsy in childhood. In symptomatic epilepsy, generalized seizures was more common and occurred at a younger age. It takes more time to control seizure of symptomatic epileps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