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도 상반기에 대전지역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에 대한 고찰
A Clinical, Epidemiologic and Laboratory Investigation of Aseptic Meningitis in Taejeon area on 1993
- 대한소아신경학회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권 제2호
-
1993.1248 - 55 (8 pages)
- 이용수 12

초록
Observation for clinical, epidemiologic and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serum level of viral antibody titier has been done in 82 cases of aseptic meningitis who had been admitted to pediatric department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to Oct.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7:1, and 42.7% of cases were belong to 1 to 5 years old age group. 2)The chief complaints were fever(96.3%), vomiting(90.2%), headache(74.4%) and nuhal rigidity(62.2%) in order of frequency, repectively. 3)Peripheral blood leukocyte, elevation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were not so remarkable. 4)On cerebrospinal fluid examinations, Leukocyte count was in range of 7-4,900(mean 943.90 ± 1158.89)/mm³, protein level was in range of 8.5-216.9(mean 54.59 ± 42.46)mg/dl and glucose level was observed from 32 to 122(mean 44.28 ± 16.58)mg/dl. 5)According to viral antibody titer measurement of serum, Coxsackie B4 and Coxsackie B5 were seemed to causative agent in Taejeon area on 1993.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1)
- 항경련제가 혈청 Carnitine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 소아의 난치성 간질에서 Vigabatrin의 임상 효과
- 출생 직후 증상이 관찰된 hemifacial spasm 1례
- Menkes 증후군 1례
- Benign Epilepsy of Childhood with Centrotemporal Spikes
- 소아의 실용적인 뇌압측정 방법
- 뇌파상 전두부에 극파 혹은 서파를 보이는 사아간질환아에 대한 임상적 고찰
- 소아간질지속상태의 원인과 예후에 관한 분석
- 영아연축의 임상양상 및 ACTH 치료효과에 관한 고찰
- Moyamoya 병의 임상적 고찰
- 뇌막염에서 뇌척수액 LDH 효소활성에 대한 고찰
- 뇌 기저핵 장애를 동반한 용혈성 요독 증후군 1례
- 1993년도 상반기에 대전지역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에 대한 고찰
- Neurodevelopmental Aspects of Cerebral Palsy
- Holoprosencephaly를 동반한 Patau 증후군 1례
- 소아기에 발생한 결절성 경화증(Tuberous sclerosis) 환아에 대한 임상적 고찰
- 동일 열성질환에서 반복성 열성경련의 예방을 위한 Diazepam의 효과
- Near-Drowning 환아의 예후 판정에 대한 초기 Glucose의 의의
- 항경련제의 장기투여가 혈장 PIVKA-Ⅱ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 영아 연축을 동반한 선천성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증 1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