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0760.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적 의미 구성과 소통의 매체로서 어린이들의 먹 놀이

Children playing with black ink as a language for learning in a cultural context

  • 493

본 논문은 시각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전통 문화 교육의 새로운 접근을 제안하고자 한다. 만 5세 어린이들이 먹을 만나서 탐색해 나간 한 현장 수업 사례를 통해, 먹이 지닌 교육적 잠재성과 어린이 자신들이 먹 놀이에 부여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어린이들은 미리 선정되고 계획된 일련의 활동들을 거치는 대신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 원리를 토대로 장기간에 걸쳐 먹과 한지를 탐색하고 실험해보는 프로젝트 경험을 하였고, 교사들은 그 과정의 기록을 남겼다. 기록물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먹 놀이 과정에서 어린이들에게 일어난 학습, 둘째, 먹 놀이가 어린이들에게 하나의 ‘언어’가 되어가는 과정, 셋째, 어린이들이 자신들의 먹 놀이에 문화적으로 부여하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교육 목표와 실천의 비연속성 및 프로젝트 접근과 시각문화교육의 연관성이 논의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field practice or “a story,” in which a group of five year old children encountered the Korean traditional medium or art, black ink. They explored and investigated the black ink and Hanji, not as a series of preplanned activities in art curriculum, but in the context of a long-term project, following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Reggio Emilia, Ital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ocumented materials, it examines educative potentials of the black ink and the meanings the children attributed to the black-ink-play, along the following three lines: learning embedded in the black-ink-play, the black-ink-play as “a language”, and children's construction of cultural meanings of the black-ink-play. The lack of continuity between the goals/ideals of art curriculum and the dominant instructional practice is noted and some possible relevance of this project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discussed.

Ⅰ. 들어가며

Ⅱ. 수묵화 교육과 학습 언어로서의 먹 놀이

Ⅲ. 어린이들의 ‘먹 이야기’

Ⅳ. 나가며

참고문헌

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