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도서지역 민속문화의 활용과 가치 재창출

A Practical Use of Folk Culture in Insular Areas and Its Valuable Re-Creation For Jindo Country

커버이미지 없음

진도에서 전승되는 민속문화는 다른 지역에서도 찾아지는 보편적인 민속문화와 진도만의 독특한 특성을 내포하는 민속문화가 함께 어우러져 있다. 진도에서는 일찍이 국자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강강술래, 남도들노래, 진도씻김굿, 진도다시래기, 진도북놀이, 진도만가 등이 진도의 대표적인 민속문화로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재는 공연예술로서 진도의 대외적인 지명도를 한층 높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민속문화의 단순한 효용론 차원을 극복하고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민속문화, 현장적 전승이 고려된 민속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민속문화는 일상생활 속에 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문화유산에 비해 그 효용 가치와 가능성이 높다고 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민속문화의 자연스럽고 조화된 전승뿐만 아니라 의도적으로 계획된 전승까지를 포함하며, 이러한 전승을 통해 그 가치를 발견하고 재인식해야 한다. 현재 진도에서는 진도 신비의 바닷길축제, 논배미축제, 소포검정쌀축제, 진도아리랑축제, 사상마을 정월대보름굿 등 대규모 단위의 축제, 소규모 단위의 여러 축제가 거행되고 있다. 이는 모두 지역민들을 위한 축제이면서 동시에 외지에서 몰려오는 관광객을 위한 축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축제에서 민속문화는 주요한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해당 축제의 특성에 맞게 재현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새롭게 탄생한 축제를 보면 민속문화 외에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역사체험, 생태환경체험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축제의 다양화와 내실화는 민속문화를 위시해서 다양한 문화자원이 활용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오늘날 문화경쟁시대를 맞이하여 문화자원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고 있는 상황에서 진도에서는 자연환경을 비롯하여 역사, 민속, 축제, 문화시설, 음악, 미술 등이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원의 활용이 관광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지역과 지역민들의 경제적 창출을 이루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때, 자원은 비로소 문화산업자원이 된다. 따라서 오늘날 점차적으로 사라져가는 민속문화에 대해서도 문화산업자원으로서 적극 활용하여 그 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다면, 민속문화의 계승과 재창조라는 두 가지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a degree and possibility of putting folk culture to practical use and its re-creation of value as a culture-based industrial resource, a investigation that involves in Jindo country's present significance of folk culture in insular areas and its local festivals. It is in the folk culture handed down in Jindo that a universal culture and Jindo's own special quality work together someway. Unfortunately, there has been such a special folk culture that i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nation, for example, KangKang-Sul-Lei (Korean circle dance), Namdo Deullorae (Field working song), Jindo Ssitgimgut, Jindo Dasiraegi and so forth, a culture in which it seems to be a meaning and valuein the mean time. Yet, given a new, cultural age now, we should to seek for the meaning and value in any various folk cultures transmitted to our lives. In today's Jindo many festivals have been celebrated on both large and small scale such as the Mystic Sea Road Festival, Nonbaemo festival, Sopo black rice festival, Arirang festival, Sasang villeage The lst January Great Dance and so on. Eventually, these festivals are all ones which can provide indigenous people as well as external tourists with their identity, It is a folk culture that can be available to take it for granted that the festivals are crucial factors, and it therefore represents the very festivals appropriately,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folk culture, to see the late newly generated festivals is comparable in a way to what we one's experience of history and ecology. The divers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of these festivals make various resources of culture open to available. The resources become only culture-base industrial ones when the actual use of them provide the region and its indigenous people with economic worth through tourism. Thus, to generate again the value which is disappearing increasingly, tow goals would be achieved into the heritage and re-creation of folk culture.

Ⅰ. 머리말

Ⅱ. 민속문화의 현재적 의미와 한계

Ⅲ. 지역축제를 통한 활용과 가능성

Ⅳ. 문화산업자원으로서의 가치 재창출

Ⅴ.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