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군도에서 홍어잡이는 70년도 초까지 다물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잠시 중단되었다가 흑산도를 중심으로 재개되었다. 흑산군도의 홍어잡이와 관련된 어로신앙의 변화는 공동체 제의의 단절과 개인 고사류의 잔존으로 이야기해 볼 수 있다. 다물도에서 3년마다 지냈던 당산제는 마을 주관으로 거행되는 큰 규모의 풍어제였으나, 홍어잡이의 중단 및 경제적인 어려움 등으로 70년대 후반에 중단되었다. 그런데, 아직도 홍어잡이와 관련되어 개인적 의례인 배서낭이나 뱃고사 등을 전승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개인적인 의례의 쇠퇴는 어선의 발달과 관련이 있는데, 배의 재질이나 GPS 등의 장비가 도입됨으로써 바다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은 그만큼 줄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흑산도 홍어잡이 어로와 관련된 신앙도 차츰 단절되거나 쇠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바다에 대한 믿음이 남아 있는 한 개인신앙과 관련된 제의는 일정 정도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Skates fishing around Heuksando Islands is doing around Dhamuldo island until the 1970s. After shortly halt, it is resumed centering around Heuksando island. The change of fishery faith related skates fishing in Heuksando comes from the discontinuance of community rites and the remain of individual rites. Although 'Dangsanjae', managed by the village every 3 year in Dhamuldo, is a large scale rite for heavy fish catch, it was halted at the late 1990s because of the temporary halt of skates fishing and the economic hardship until the late 1970s. A few inhabitants transmit the 'BaeSeoNang'(a god for protecting ships) or 'BaeGoSa' (a rite on ships) which are individual rites related with skates fishing until now. The decrease of individual rites is related with development of fisherboats. Human being's fear about sea is decreased by the introduction of new equipments, such as boat's material quality or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 faith related with skates fishing around Heuksando is gradually discontinuing or decreasing in reality. As far as guman belief of sea is existence, the rites related with individual faith will be continue for a while.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어로신앙의 단절과 지속
Ⅲ. 어로신앙의 변화 요인
Ⅳ.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