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도에서 천주교의 성장과 마을공동체의 변동

Growth of Roman Catholicism and Change of Shinchang Community in Jeju Island

  • 130

이 논문은 무속신앙이 강한 제주도의 한 마을공동체를 사례로 하여 외래종교인 천주교 선교전략과 그것이 마을공동체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분석에는 문헌연구방법과 주요 정보제공자를 중심으로 한 심층면접방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이외에 통계청 및 현지에서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천주교회는 교회자원을 활용해 교육, 의료, 양로, 보육, 문화사업 등 사회복지사업을 중심으로 선교활동을 전개해왔으며, 이 논문의 사례마을에서도 비슷한 특징을 보였다. 한국 천주교회 창설 즉 1784년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한국천주교회의 선교방법은 직접선교였고 한국전쟁 이후에 구호품을 받아들이면서 사회복지분야에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 천주교회는 선교를 지역복지분야와 접목해 지경의 사회관계와 생활문화에 밀착하는 방식으로 지역사회에 뿌리내림을 시도하였고 제주도에서 가톨릭마을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의 사례를 통해서 볼 때 천주교회가 한 주목할 만한 선교활동으로는 주민들의 의식개선과 계몽, 주민화합활동과 함께 주민교육에 대한 기여, 특히 유아교육 기회를 확대시켰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교회자원을 활용해 지역복지 활동을 전개해왔는데, 구호물품 등에 의한 구민활동,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역할, 장례식장 제공 등 교회의 자원을 활용해 주민편의를 제공해주었고 최근에는 독거노인을 위한 반찬배달사업 등 노인복지에도 일정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요컨대, 제주도에서 천주교의 성장은 시대적, 지리적 요인이 일정하게 작용하였는데, 한국전쟁 이후 사례 마을에서 천주교가 급성장하게 된 데는 사례마을 인근에 기지가 있었고 미국인 신부를 통해 구호물자의 유입이 용이했다는 지리적 이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무속신앙이 강한 제주도에서 어떤 형식으로 천주교의 종교적 교리와 실천약식에 포섭되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천주교가 마을의 중심이념이 되면서 마을의 사회적 관계의 성격과 마을공동체의 성격, 그리고 경제적 관계의 성격 등 마을공동체 저변의 구조적 변화의 내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background for which Roman Catholicism was established in Shinchang community of Jeju Island, and the process which Roman Catholicism has become naturalized there. The reference research method and the depths interview method centering on main informers were mainly used for analysis. Especially, we get interested in the regionaliz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of Roman Catholicism in Shinchang community. Jeju Island is a society where a shamanist custom rooted strongly and has become an everyday raw base. The current number of the Roman Catholic persuasion of our research case comes to 36 precent of the residents and it has exceeded the national average (10 percent). When seeing on such the side, Roman Catholicism of specific gravity is also high in Shinchang community.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seems to be the nest : Korean Catholicism meeting utilizes and educates church resources, and medical treatment, taking good care of the aged, nurture and cultural business can develop propagation focusing on social welfare service and also watch this carefully by the case area of this study. A social welfare policy of all achievements of the Korean War period state has developed various welfare activity in a local community in the main hall center under the support of the Catholic Relief Services (CRS) of National Catholic Welfare Conference (NCWC) in the paralyzed state in particular. Roman Catholicism tried to connect missionary work with the community welfare field and toot a local community by a social relation in an area and the system which sticks to life culture. Roman Catholicism tried to connect missionary work with the community welfare field and root a local community by a social relation in an area and the system which sticks to life culture. Roman Catholicism made baby educational opportunity expand with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raising, enlightenment, harmony activities between residents, and education for residents. Roman Catholicism has afford every facility by relief material, a cultural space, and a funeral hall. Roman Catholicism has also played the fixed role in area welfare by doing activities like the dish delivery business for aged people of a single life. The influence of Roman Catholicism is dominant in the present at Shinchang community.

Ⅰ. 서론

Ⅱ. 논의의 배경과 연구방법

Ⅲ. 제주도의 천주교 전래와 현황

Ⅳ 천주교 선교전략의 특징과 그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