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호남의 사찰제영시에 대한 연구이다. 호남은 현재 1,000여개의 사찰이 존재하고 있으며, 지리산, 조계산, 대둔산 등을 비롯한 명승지에 자리하고 있는 古刹은 제영시를 비롯한 문학작품의 산실이었다. 수많은 사찰제영시가 존재함에도 지금까지 자료조사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찰제영시의 면모나 문학적 성과 등이 조명을 제대로 받지 못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논문은 호남의 한 지역인 구례지역 古刹의 제영시를 고찰하고자 시도되었다. 기존에 널리 알려져서 해당 사찰의 제영시임이 확실한 시들을 두루 자료로 활용하여 호남 전체의 사찰제영시에 대하여 논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찰제영시가 해당 사찰의 제영시임을 확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同名의 사찰이 많고, 時題의 사찰과 작자의 관련성, 사찰의 역사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로 존재하는 제영시가 적지 않아 작품이 그 지역 해당 사찰의 제영시인가를 확인하는 일은 매 편 주의를 요한다. 이러한 점이 본고의 논의 범위를 구례 한 지역으로 제한하고 수집된 자료도 적극적으로 논문에 반영하기 어려웠던 이유이다. 이러한 과제들과 본고에서 지적된 문제점들을 극복하면서 이 논문의 범위를 확대하여 향후 호남의 사찰제영시 존재양상과 문학적 성과에 대한 연구로 나아가고자 한다.
A temple-poem represents the poem whose title is the temples name. The contents of this poem is a scenery around those temples and a feeling after climbing there. There are two main motives to create temple-poem. One is the inspiration gained by temple's beautiful surroundings, the other is the introspection of temple's history. There are nearly a thousand number of temples in Honam a lot more than other areas and this provinces produced many pieces of men and work of Buddist literature. So, it is needless to say that temple-poems are also very abundant and being the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In this paper, there are several comments on Hwaeomsa, Yeongoksa, Cheoneunsa representitive temples of Gurye area. The temple-poems of Hwaeomsa have a pride that is originated from its temple size, long history, ascetic exercises. Yeongoksa had many historical wounds such as Imjinwaeran and resistance to Japan during colonial period, so its temple-poems represent such aspects a lot. Cheneunsa's temple-poems have many poems which sing beautiful scenary rather than historical facts. This paper is to be a cornerstone to study not just Honam's temple-poems but also whole Korean temple-poems more deeply.
Ⅰ. 머리말
Ⅱ. 자료 확정의 문제에 대하여
Ⅲ. 사찰의 역사와 題詠詩
Ⅳ.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