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羅南道 鎭城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Jin-seong' of chonnam regi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호남문화연구
- 제36집
-
2005.06245 - 272 (28 pages)
- 48
본 연구에서는 역사·고고학에서 고문헌 자료와 각 지역 지표조사 그리고 발굴조사를 바탕으로 밝혀진 연구결과와 건축학에서 읍성 축조에 따른 계획원리 및 공간구조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의 옛 지도에 나타난 진성의 공간구조 및 성곽을 구성하는 시설물들에 대해 전남지방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고문헌을 통해 보여지는 성곽시설물과 옛지도를 통해 보여지는 성곽시설물에 약간의 차이가 나긴 하지만 이는 문헌과 지도가 제작된 시점을 차이로 보여지며, 읍성에 나타나는 시설물과 진성에 나타나는 시설물은 수군을 위한 시설 몇가지를 제외하고 거의 비슷한 시설물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요건물인 관아와 객사의 배치 형태도 규범화 되어가던 읍성의 배치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성문의 형태 및 가로망의 구조 또는 읍성의 형태와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성문의 개수는 읍성은 4개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수군진성은 지형적, 군사목적상의 이유로 2~3개의 성문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성에 나타나는 시설물 및 배치형태는 행정위계상 상위인 읍성에 나타나는 시설물 및 배치형태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규범화 되어가는 성곽구성원리에 충실하고 군사목적상 특수성을 띠는 진성의 특수한 상황이 잘 반영된 형태라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jin-seong facilities and space structure in old map to chonnam region through the plan principle and space structure of Eup-seong building The castle facilities are some difference of the old data and old map. However, this is seen by difference of point of time that old data and map are produced. Castle facilities was established almost similarly in Eup-seong and ginseong, except some facilities for naval forecs. The shape of castle-gate and street structure and main building's layout are similar to Eupseong, but number of castle gate to Eupseong is four place, but gin-seong is established 2~3 place for reason of topographical and military purpose. Ginseong facilities and layout are similar to Eupseong which have administrative structure of higher position. This is full with castle composition principle, and the situation of military peculiarity is form of ginseong that is reflected well.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국의 지도
Ⅲ. 성곽에 대한 일반론적 고찰
Ⅳ. 전남지방의 진성
Ⅴ.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