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이저의 수용미학에 대하여

  • 285

일원론적 이성 중심의 근대적 기획에 대한 회의가 유포되기 시작하면서 그동안 소외되었던 주변부적인 요소들이 복권되어 가고 있다. 여성, 환경, 식민지가 손상되기 이전의 모습을 되찾아가고 있는 것이 바로 이런 맥락 때문이다. 거기에는 작자 혹은 텍스트의 권위에 의해 배제되거나 소외되었던 독자도 포함되어야 할 것 같다. 독자 중심의 수용미학은 전후에 주도적이었던 서술미학이나 생산미학적인 문학이론과 해석모델이 안고 있었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수용미학은 <문학과 사회>, 또는 <심미적 인식과 역사적 인식>의 간격을 해결하고자 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특히 수용미학은 형식주의적 방법론과 마르크스주의적 방법론 사이에 전개된 논쟁에서 해결되지 않은 채 남겨진 문학사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형식 심미주의적 입장의 <서술미학>과 역사 사회적 입장의 <생산미학>이 지닌 방법론을 양쪽 다 비판함으로써 수용미학은 그 계기점과 정당성을 찾고 있다. 이저는 현상학적 바탕 위에서 독서 행위의 기본 모형을 재구성하려는 목표로 수용미학을 체계화하였다. 이저는 19세기 헤겔주의적 미학을 거부하였다. 첫 번째 문학적 텍스트를 개념적으로 동화시키는 것, 둘째 조화로운 총체성이라는 고전주의적 기준에 관한 것들을 비판한 것이다. 그는 텍스트의 미확정성을 강조하고 텍스트의 의미가 텍스트와 독자의 상호 작용의 산물이라고 하였다. 그는 문학 텍스트들의 기능 이론적 모델을 기획하고 허구 - 실제라는 대립쌍의 해체를 시도하여 허구적 텍스트의 전달 상황을 이론 전개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러한 그의 시도가 일반 행위 이론과 연관을 맺게 된 것이다. 하지만 해체 이론에 바탕한 문학연구는 독서의 환영이나 믿음을 신뢰하지 않는 자기 소멸적 해서으로 비쳐진다. 완전성과 총체성을 획득할 수 없는 모든 독서는 새로운 해석을 기다리며 그 해석은 다시금 새로운 글의 첨가이며 동시에 근원을 새롭게 위조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독서란 작가 자신도 눈치채지 못한 특정한 관계, 즉 그가 자신이 사용한 언어 도식으로 지배했던 것과 지배하지 못한 것 간의 특정한 관계를 주시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므로 수용미학과 해체이론에 바탕한 문학연구에서의 독서에는 완전한 현전에 대한 향수적 이념이 아니라 중심에 대한 욕망이 담겨 있는 셈이다. 따라서 수용미학이 새로운 문학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쇄신을 거듭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적 범주와의 연관을 필요로 하는데, 특히 문학 사회학과 소통이론 등의 문예이론을 포섭하는 노력이 우선적 과제이다. 결국 수용미학은 문학연구의 학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학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서 그 문예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할 것이다.

As the skepticism about modern plan with priority given to monism logos starts to be spread, the off-center elements which have been neglected so far are being rehabilitated. That's because women, environment and colony have taken back their previous states which had been destroyed. Among these, we should include the readers who have been excluded or estranged by the authority of writers or text. Production Aesthetic and analytical model were overwhelming after the war. Rezeptions&auml;sthetik that takes the readers to be important appears to overcome the problems they have. Rezeptions&auml;sthetik starts from trying to solve the differences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or aesthetic and historical recognition. Especially Rezeptions&auml;sthetik presents the problem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at remain unsolved through the controversy between formalism and Marxism methodology. Rezeptions&auml;sthetik obtains its justice and momentum by criticizing the methodologies of both Narratology which takes a formalism aesthetic point of view and Production Aesthetic which takes history social angle. Iser systematized Rezeptions&auml;sthetik to reorganize the act of reading's basic model on the phenomenology background. Iser denied Hegelian aesthetics of 19th century. He criticized the conceptual assimilation of literary text and the classic standard named harmonic whole. He emphasized the non-settled feature of text and said that the meaning of text was result of the text and readers' interaction. He made functional theoretical model of literary and tried to break up the opposition pair of fiction - reality. Therefore, he took the communicative situation of fictional text as a beginning point of theory development. His attempt like these were related with general action theory. However,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deconstruction theory looks like an analysis of self-extinction which doesn't trust the illusion or belief of reading. Every reading that can't win completion and wholism waits for the new interpretation and it, again, is addition of new article and at the same time, is exchanging the origin. Reading can be explained by watching the special relationship which the writer couldn't even think of,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ngs that he can and can't rule with the linguistic scheme which he used. So in the reading of literary research based on Rezeptions&auml;sthetik and deconstruction, there is not the nostalgia ideology about perfect actual existence but the desire to the center. Hence, it is necessary for Rezeptions&auml;sthetik to be connected with various academic categories for renovationg over and over as a new literary researching methodology. Especially, it is the most primary task for Rezeptions&auml;sthetik to make an effort to bring to its side literary art theories such as sociology of literature and communication theory. Ultimately, literary significance of it can be found through expanding the range of literary research by hav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literary study possible.

국문초록

Ⅰ. 수용미학의 태동

Ⅱ. 이저의 현상학적 영향 미학

Ⅲ. 이저 이론의 의의와 수용미학의 전망

참고문헌

영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