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문화정보시스템(HCIS: Honam Culture Information System)은 호남문화의 표층적인 현상을 수집 · 정리한 것의 구현뿐만 아니라, 전남 · 북을 아우르는 지역성, 유 · 무형으로 보편화된 양식성, 변이를 거듭하며 지속되어 온 역사성 등 각 층위에서 그 가치체계를 아울러 구현하려는 시스템이다. 지역연구에 있어서 문화가 갖는 함의 및 중요성을 바탕으로, 지역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철저한 분석을 통해 획득한 다양하고도 포괄적인 정보, 세부적이고 전문적인 내용 등을 담은 것이다. 과학 기술의 발달에 따른 광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시간과 공간이 압축된 가상공간 속에서 생산되고 소통되고 소비되는 지역문화와 함께 공간적 문화정보를 구현하기 위해 Web GIS를 이용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인문 · 자연환경의 다양성이 그 어느 지역보다 높은 호남지역의 문화를 심층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호남지역 및 호남문화의 정체성을 밝혀내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호남문화정보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호남문화 아카이브를 분류하고, 그 분류 항목별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했다. 문화적 정체성이야말로 타 지역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살필 수 있기 때문에, 분류 중 대분류는 모든 타 지역문화의 문화요소도 반영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보편적 잣대가 되도록 하였다. 그래서 호남문화를 고고와 역사, 언어와 문학, 사살과 종교, 음악과 미술, 연희와 축제, 주거와 음식 등 12개 분야로 세분하였다. 이 12개 분야에 대한 호남문화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해, 1차년도는 분야별 실내 문헌조사와 자료 정리 및 현지조사 병행, 2차년도는 분야별 체계적인 분석과 심충적인 현지조사 등을 했다. 그리고 3차년도는 수집 정리된 호남문화 아카이브에 대한 특성 및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콘텐츠 및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였다. 호남문화정보시스템은 문화정보의 시 · 공간 표준 DB 구축과 호남문화정보의 공유 및 연계는 물론이고, 문화정보 관리 · 유지, 문화정보 웹 서비스 및 통계분석까지 가능하도록 한 모형으로 설계되었다. 이 모형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GIS 관리시스템, Web 서비스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GIS정보와 연계된 호남문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은 호남지역의 본질적인 인문, 사회, 자연적 의미와 문화의 실질적인 측면을 효율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GIS와 연계된 지역문화정보시스템 개발을 통한 호남문화 디지털 아카이브 제공은 지역학 연구자들이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을 통해 호남지역의 문화 요소를 쉽게 접근하게 하여 지역간 비교 연구 및 새로운 문화정보를 보다 많이 창출하게 할 것이다. 그렇지만 과연 이 호남문화정보시스템이 지역문화정보시스템으로서의 역할과 기능, 구현방식에 얼마만큼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관련 연구자 및 전문가에 의한 진지한 검토가 요망된다.
Honam Culture Information System (HCIS) is not only to collect and to arrange just surface appearance of Honam culture, but to embody regional, universal and historic peculiarities on each layer with the system of Honam cultural value. On the ground of the importance and meanings of regional culture, the HCIS is made up of various and inclusive information, specialized details. It is a kind of Web GIS system using an optical communication in the 3 dimensional cyber spaces. This cultural information system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find Honam culture identity based on an in-depth and systematic analyzing culture in the region of Honam. For developing the HCIS, we classified Honam culture archives and made their digital archives. Because a cultural identity can be found among other cultures, big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universal 12 fields. (e.g. Antiquities & History, Language & Literature, Ideology & Religion, Music & Arts, Drama & Festival, Housing & Food) During the first year, we collected regional information contents through referring to sundry records, adjusting data, and field surveys. And we carried out systematic analyses and in-depth field surveys in the second year, etc. In the last year, we built the regional culture map, designed the Honam regional culture information system by combining the digital contents archives. The HCIS is designed to can be space-time standard DB, implementing interoperability, sharing, managing, and a statistical analysis of Honam culture information. This model is composed of a database managing system, a GIS managing system, and a Web service managing system. To build Honam culture digital archives combining GIS information is seemed to bridge a gap between essential humanities, social and natural meanings and realistic culture. This web GIS system, the HCIS suggests regional studies researchers accessing cultural elements easily on the internet in the cyber space. Therefore, researchers can compare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one and the other, and produce the cultural information.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호남문화 아카이브 분류와 HCIS 구축 과정
Ⅲ. HCIS의 설계 모형
Ⅳ. HCIS 데이버베이스의 스키마 및 관리 체계
Ⅴ. HCIS의 웹 서비스 화면 구성 및 자료 검색 체계
Ⅵ. 향후 보완점 및 과제
참고문헌
영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