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영국 사회주택의 사회혼합정책 연구

Discourse on Social Mix Policies of Social Housing in the United Kingdom

  • 657
101113.jpg

임대주택 입주자의 사회혼합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정책수단에 대한 정답은 없다고 여겨진다. 세계적으로 장기임대주택 재고를 보유한 국가는 지역공동체에서 임대주택 주민의 사회통합이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영국의 사회주택과 사회혼합정책에 대한 고찰은 한국의 주택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국 사회주택은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의 불결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전후 주택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정부의 개입으로 탄생하였고 현재까지 약 500만호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으나, 낙인 등 사회적 배제현상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는 범부처 조직을 만들고 사회혼합을 위한 비전과 정책을 제시한다. 사회혼합정책은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한다. 양적 측면의 정책은 신규공급, 계획에 의한 취득, 불하권 행사, 리모델링과 재건축, 유사주택 판매(대체), 고밀화와 내충개발을 들 수 있으며, 질적 측면에서는 입주자선정, 임대료책정, 입주자 참여, 시장수준 임대, 고소득 세입자 유지, 세입자소득 증대 등이 있다. 이들 사회혼합정책을 점유혼합, 소득혼합, 연령혼합, 인종혼합효과로 구분해서 효용성 분석을 해보면 계획에 의한 취득, 입주자 선정 등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혼합개발된 지역주민들의 거주만족도가 80%에 달하고 있어 세밀한 사회혼합정책이 성공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국의 사회혼합정책은 임대주택 재고 확충, 정부의 정책적 관심, 점유혼합의 중요성, 양적ㆍ질적 정책수단의 종합적 접근 등이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It has been well agreed that there was no correct answer about the most effective solution for the social mix of public rented housing sector. It is very important for every country which has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stock to mix the residents within their communities. Bad urban housing sanit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housing shortages after world wars stimulated local governments to intervene housing market and to build social housing. The U.K. has nearly 5million social housing units. But there had been problems such as stigmatization and social exclusion in the social rented housing sector. Central government launched cross-government organization like SEU, proposed vision of sustainable community, and implemented social mix policies. The policies on social mix can be classified as quantitative method and qualitative method. Quantitative methods can be new building with small scale mixed development, planning gain, right-to-buy, large scale remodelling and rebuilding, like-for like sales, and densification and infill development. Qualitative methods include allocation, rent setting, tenant participation, market renting, retaining higher-income tenants, and improving the incomes of existing tenants. These policy schemes can be analyzed by linking them into 4 effects: tenure mix, income mix, age mix and ethnic mix. Utility analysis tells that planning gain, allocation, and others are very important for making mixed society. According to the survey on area satisfaction of mixed tenure development residents, more than 80 per cent residents are very or fairly satisfied. The study on the U.K housing policy suggests that Korea still needs more public rented housing stock; it needs more policy concerns from government; tenure mix schemes are still important; holistic approach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is needed; even though two countries have much differences in many fields,

I. 서론

II. 영국의 사회주택정책

III. 영국의 사회주택 사회혼합정책

IV. 영국의 사회혼합정책의 효용성분석

V. 시사점

참고문헌

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