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는 고조선과 더불어 한국사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고대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성과는 초보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이 글은 부여 무덤의 특징을 고찰해 보고, 무덤의 변화양상을 통해 부여사의 전개과정을 재해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조사된 부여 무덤으로는 노하심유적, 모아산유적, 학고촌유적 등이 있다. 이들 무덤의 구조와 출토유물의 특징을 통해 보면, 노하심유적 단계에는 북방초원문화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으며, 모아산유적 단계에 들어서는 북방초원문화의 영향이 줄어들고 점차 한문화의 영향이 강해지고 있는 변화양상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양상을 통해 부여사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면 부여의 건국 주체세력은 기존의 예맥계통이 아닌 북방초원계통의 민족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당시 흉노 등의 북방초원민족이 동쪽으로 세력을 확대하던 국제정세와 노하심유적의 기원을 눈강하류지역 한서이기문화와 평양고분군으로 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이들은 늦어도 기원전 2세기초에 길림시일대를 중심으로 부여를 건국한 후 기원전후한 시기까지 송화강유역을 따라 주변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이 당시 노하심유적과 학고촌유적이 조영되고 있는데, 이 당시의 무덤의 구조와 장례풍속, 출토유물 등에서 북방초원문화의 전통적 요소가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으며, 일부 예맥계의 토착적인 요소와 한문화요소가 결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부여문화가 탄생되고 있다. 이후 3세기 중반까지 부여는 안정적인 통치 체제를 확립하고,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대외적으로 주변국들과 상호경쟁 혹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북아의 패자로 군림하고 있었다. 당시 모아산유적이 조영되는데, 이 시기의 무덤에서는 한문화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당시 부여가 중원의 한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기존의 토착문화와 결합시켜 자신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지닌 고급문화로 재탄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선진문화의 주체적 수용은 당시 부여를 동북지역의 패자로 군림하게 만드는 바탕이 되었다.
This article was originally change of Puyeo tomb aspects of the grant was written in the purpose for which you want to reinterpreted. Until now, Puyeo tomb surveyed the ruins of a tomb grant, together bought the ruins laoheshen ruins, maoershan ruins, xuegucun ruins. Grassland in the north of the laoheshen ruins traditional culture remains strong, and maoershan ruins together have a strong influence of the mountain are the ruins of the Han culture are two aspects. These changes give the four aspects of the founding principals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t Puyeo power to the people of the northern grassland system can assume. This was the origin of the ruins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nungang river heart can be found in archaeological culture and the points that can be presented as evidence. Surrounding the basin songhwa river Puyeo the power to extend the lead, while the ruins to loaheshen ruins and hakgochony ruin, laoheshen ruins of the tomb structure and funeral customs, relics unearthed in the north grasslands and traditional elements of culture still remains strong, and some indigenous elements of the indigenous culture and Han culture is a unique combination of Puyeo and is being formed can be found. After the 3rd century Puyeo until the middle of the rule system to establish stable, and publicly has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is time the maoershan ruins together,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on Han culture have a strong showing, at the time Puyeo by the Han culture accept the initiative in their own unique culture has been developed. This advanced culture at the time of acceptance of the initiative to Puyeo making in Northeast Asia, and is dominated by the loser.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주요유적
Ⅲ. 무덤의 구조와 출토유물의 특징
Ⅳ. 무덤의 편년과 변화양상
Ⅴ. 부여 무덤의 기원과 부여사 전개과정
Ⅵ. 맺음말
參考文獻
영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