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양양 후포매리 신라 산성의 고찰

A Study of the Hupome-ri Silla fortress in Yangyang-gun

  • 214
101160.jpg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후포매리에 위치한 이 산성은 新羅시대의 基壇石築型 土城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토루 상면에는 할석과 흙을 피보·축조하여 경주 월성과 비교할 수 있다. 산성 내에서 수습된 신라 토기편들로 볼 때 이 산성은 신라 진흥왕의 북진기 이전에 축조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이 산성은 고도가 높고, 험한 산봉우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처음에는 변방의 군사적 거점으로 만들어져 고구려에 대항하거나, 교통로·보급로 확보, 지방통제 및 변경 감제, 외부의 공격에 대한 방어 등의 기능을 하였을 것이다. 이후 이 산성은 『삼국사기』지리지에 나오는 溟洲의 직속 領縣인 洞山縣의 治所 또는 治所의 背後城으로 활용되었다. 산성 내에서 다량으로 보이는 경주산 토기들은 사료에 보이는 지방관이나 군관의 파견 기사, 사민 기사 등 신라 중앙세력의 다양한 지방 지배 방식과 관련시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후포매리산성은 군사적 거점으로 산봉우리에 축조하였고, 주변에 적석목곽묘 고분군이 존재하지 않아 軍官의 파견 및 駐屯軍으로 볼 수 있는 적극적인 해석도 가능할 듯하다. 지금까지 강원도 동해안의 고고학적 조사는 신라고분 자료가 대부분이었으나, 이 후포매리신라 산성은 현재 남한의 동해안 지역에서는 가장 북쪽에서 발견되었으며, 앞으로 신라의 동해안 진출과 지배양상을 적극적으로 해석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This Mountain fortress walls(山城) is located in Hupome-ri, Hyunnam-myun, YangYang-gun, and dated to the Three Kingdom Age from the Silla earthenware in the site. It is constructed base parts made of stone row and piled up earthen walled cover with stone and soil. Regarding the types of the fortress, this fortress is classified into earthen fortress(土城).\According to the SamGukSaGi(『三國史記』), Gangneung was already under Silla' rule in the 42nd year of king Namul(397). Archaeological resources also support this records. In addition to Hupome-ri fortress was utilized by Silla and Unified Silla period through the archaeological survey and historical documents. Also, Hupome-ri fortress is much valuable because of the huessing of the deep relation with the Dongsan-hyoun(洞山縣) in Myoung-ju(溟洲) asspeared in the SamGukSaGi Jiriji(『三國史記』地理志). Construction of fortress is a national ptoject that requires strong control over the area, therefore, Hupome-ri fortress was functioned as a defense and ruling point to protect national territory or people from the Goguryo's threats and extenal attacks. And this fortress was a basically or people from the Goguryo's threats and extenal attacks. And this fortress was basically a military base and also an administrative center control the local,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for a mountain fortress to function as an administrative center. Silla attempted a indirect governance using aboriginal ministers or delegated lords or commanding officers to important center and strategic point. So then, Hupome-ri fortress is estimated to have been utilized by the commanding officer and soldiers who were sent to the place by Silla.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do the excavation on this Mountains fortress walls in the future, and research into the Hupome-ri, ancient tombs near fortress site.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관련 문헌 자료 검토

Ⅲ. 산성의 현상과 출토유물 및 축조시기

Ⅳ. 산성의 성격

Ⅴ. 맺음말

參考文獻

영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