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글로벌리즘과 민족주의의 대립적 담론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ntradictory Discourse Structure Between Globalism and Nationalism

  • 88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지배적 담론으로 자리잡고 있는 글로벌리즘(Globalism)과 민족주의(Nationalism) 담론이 인식론적 차원에서 대립적 상충성을 내장하고 있지만, 이 문제의 심각성이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세계화와 민족주의에 관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이들 지배적 담론의 구성적 내용과 적실성에 집착했기 때문에, 한국의 특수한 상황과 연관된 대립적 분열양상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세계화와 민족문제의 상관관계를 다루는 연구에 있어서도 다루는 주제나 대상의 세계화를 해법으로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지배적 담론의 경쟁적 성격에 주목하면서, 이러한 대립적 담론구조가 가져올 분열적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시민들의 정치의식과 △정책수립과 추진상의 문제,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다. 글로벌리즘은 세계화를 정책적·실천적 목표로 하는 것이지만 세계화를 통해 자신의 정당화를 시도하게 된다. 세계화의 구체적 이미지는 △세계적 수준의 경쟁, △세계적 통치행위, 그리고 △글로벌 스탠더드로 집약하였다. 이에 비해 민족주의는 민족통일과 발전을 실천적 과제로 성장하면서, △민족통합/민족통일, △민족적 발전, 그리고 △민족적 공존과 개방성의 이미지를 함축하고 있다. 국가정체성의 관점에서 볼 때, 민족통일을 통해 근대적 자아를 형성하려는 민족주의 이미지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지향하는 글로벌리즘의 이미지와 상치된다. 국가의 존재양태와 연결되는 이미지 또한 민족발전과 세계적 통치개념으로 대립된다. 민족발전은 민족단위의 발전전략을 기반으로 하는 민족주의적 분위기를 강조하는 것이라면, 세계적 통치는 초국적기업이나 NGO, 그리고 각종 다자간 기구등 초국가적 정치행위의 전망을 넓혀준다는 점에서 대립적이다. 민족적 공존은 민족공동체의 구성원들간의 더불어 사는 삶을 강조하는 점에서 공동체 지향적이지만, 세계적 차원의 경쟁은 구성원들의 야만적 대립과 냉혹한 적자생존의 이미지를 전해준다는 점에서 개체지향적이다. 이러한 경쟁적 성격은 준거집단, 중심 영역, 주요 행위자, 이념적 교의, 문화적 태도, 사회운영 원리 등의 영역에 있어 상충성을 드러낸다. 글로벌리즘은 개인 혹은 기업이 주요행위자가 되면서 경쟁의 원리에 입각해 행동하기 때문에 적자생존의 냉혹한 정글의 법칙이 적용된다. 정치경제적으로는 신자유주의적 교의에 부합하는 것이며 문화적으로는 문화적 상대주의를 지향한다. 민족주의 담론은 개인보다 국가나 민족중심으로 사고하며 정치·안보영역을 강조하게 된다. 공동체주의에 입각한 공정한 경쟁과 분배정의의 정신이 중시된다. 지배적 담론의 대립적 성격은 인식론적 차원과 정책적 차원에서의 분열로 귀결되고 있다. 일존의 ‘글로벌 혼돈’으로 불리우는 분열적 효과는 사회경제정책과 어문정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재벌의 구조조정과 노사정협의회 운영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경제 부문에 있어 국가와 기업, 개인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혼돈이 사라지지 않고 있으며, 영어공용어와 한문병용 논쟁은 어문정책에 대한 국론분열 양상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또한 통일정책에 있어서도 시장중심적 사고와 민족중심적 사고의 혼선은 통일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해결의 대안은 민족공동체를 발전주체로 상정하면서 세계화의 환경조건을 극복하려는 정책적 지혜를 마련하는 것이다. 즉 인식과 행위의 단위로 민족적 자아의 역사적 의미를 전제하고 이를 중심으로 세계화 시대를 돌파하려는 의지와 지혜를 결집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Globalism and Nationalism, two of the most dominant discourses in our society, embody interesting epistemological contradictions, but the seriousness of such contradictions has been overlooked until now. This study seeks to attend to this matter in a more analytical and in-depth probe into these contradictions. Existing researches on globalization and nationalism focus on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and logical appropriateness of these dominant discourses. As a result, such research undertakings fail to tackle the contradiction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Korean situation. Studies carried out on globalization and nationalism similarly fail to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contradictions because they merely present globalization as the solution in their theme and objec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conflicting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dominant discourses, and examines the split aspect inherent to these contradicting discourse structures. It attempts to clarify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problems that manifest in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as well as solutions to such problems. The concrete images of globalization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aspects: global competition, global governance and global standard. On the other hand, nationalism emphasizes national reunification and development as a practical object, clearly manifesting national unity and reunification, nat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 co-existence and openness. In view of national identity, nationalism contradicts with globalism in that the former is trying to build national pride by advocating reunification, while the latter pursues the global standard. Furthermore, the image related with the existing forms of the state is contradictory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global governance. The principle of national development emphasizes the mood of nationalism based on the development of each nation, while global governance widens the perspective of transnational political behavior by incorporating conceptions of a transnational company, NGOs and all kinds of multilateral agencies. National coexistence is community-oriented because it stresses peaceful co-existence among all the people in the nation. On the other hand, global competition is individual-oriented considering that its primary image embodies the barbarous and heartless reality of survival of the fittest. This competitive image reveals the contradictions in terms of the reference group, main area, main agents, ideological doctrine, cultural attitude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living in the society. The heartless law of the jungle, the survival of the fittest, can be applied to globalism because the main actor, be it alone individual or acompany, act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This tendency coincides with the doctrine of new-liberalism and also mirrors cultural relativism. Nationalism, on the contrary, places emphasis on the state or nation itself, the political system and national defense, instead of stressing the individual`s role. This discourse structure values just distribution and fair competition based on the community-oriented doctrine. Th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dominant discourses result in a serious split in the epistemological aspects as well as in matters pertaining to the policy-making process. The effect of such a split, referred to as `global turbulence`, appears mostly in the social, economic and language policies. As we see the restructuring of Chaebols and the operation of the Tripartite Committee congisting of the labor force, the management and the government, inconsistency and chaos as to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individual, the company and the state still prevails. Such contradictions bring to light a rift in national opinion on the language policy, which can best be illustrated by the public use of English and the integration of Chinese charac

Ⅰ. 서론

Ⅱ. 지배적 담론구조의 분석

Ⅲ. 지배적 담론의 대립적 성격

Ⅳ. 결론 : 국가정책상의 함의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