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의 지적행정서비스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
A Study on the Indicator Development for Cadastral Administration Service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Measuring Prioritie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25권 제1호
-
2009.06155 - 165 (11 pages)
- 113

본 연구는 지적행정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제시하고, 평가항목 및 평가체계상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측정ㆍ비교하여 평가지표의 내용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을 지적행정서비스로 한정하였고, 연구범위로 시간적 범위는 지방자치화가 본격적으로 실시된 1995년부터 현재까지로 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로 하였으며, 내용적 범위는 지방정부의 지적행정서비스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접근방법은 행정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였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분석적 계층절차(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방법을 활용한 통계적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제1계층 평가영역차원에서는 민원처리과정(.633)과 제2계층 평가차원의 신뢰성(.705) 그리고 제3계층 평가요소의 공무원의 전문지식의 보유정도(.568)가 지적행정서비스지표를 구성하는 각 계층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proposes indicator for evaluating cadastral administration service and draws implication for the contents of evaluation indicator by measuring and analyzing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valuation items and evaluation system. Target of the study was limited to cadastral administration service and as for the study scope, the scope of time was set from 1995 when local self-government was implemented earnestly to the present, the spatial scope was Korea and the scope of contents was limited to indicator development for cadastral administration service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 A method of administrative approach was used and as for th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search were used. As for the analysis metho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utiliz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ublic grievance processing of the first class evaluation area (.633), reliability of the second class evaluation level (.705) and public servants'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third class evaluation element (.568) occupied the highest place in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ach item.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조사설계
4. 분석결과 및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