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1354.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주와 전파의 고고학적 구분

An Archaeological Distinction between Migration and Diffusion : Preliminary Models

  • 1,413

본고는 전파론에 대한 기존의 비판이 대안없이 원론적인 차원에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한국고고학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써 이주와 전파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 고찰한다. 현재 이루와 전파는 명확한 개념규정없이 혼용되고 있어서 문화변동 요인으로서의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설득력있는 설명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파와 이주를 고고학적으로 구분해낼 수 있는 방법론을 정립하고, 둘째, 전파와 이주를 무조건적으로 맹신하거나 부정하는 대신 이들의 구조에 대해 본격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그 방안으로서, 전파와 이주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양자의 고고학적 결과물에 대한 예측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기존 고고학에서 간헐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체크리스트 접근법을 우선적으로 검토한다. 필자는 이 접근법의 고고학적 적용가능성이 높음에 대해서는 인정하지만, 전파의 구조와 이주후에 발생하는 문화변동에 대해 설명하지는 못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대안으로서, 필자는 전파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의 중요변수인 이주거리와 그 요인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종합하며 이주의 거리와 공간적 상관관계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이주 후에 발생하는 문화변동은 이주민과 선주민 간의 역관계에 의해 상당부분 좌우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선주민과 이주민간의 역관계에 따른 문화변형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다.

Pointing out that the existing criticisms of diffusionistic approach have had no impact on Korean archaeology because they did not provide alternatives, this paper considers methods that can distinguish migration and diffusion. Migration and diffusion are often used as equivalence to each other, and thus do not relevantly explain culture changes, despite their potentials. In order to lessen this problem,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methods that can distinguish the two mechanisms, and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structures of the two more seriously rather than simply accepting or rejecting them. To do so, archaeological expectations of migration and diffusion are proposed. Also, mode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ance of movement and spatial distribution of archaeological data and that of the material culture change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igrants and indigenous population are proposed.

요약

Ⅰ 서론

Ⅱ 기술전파와 이주에 관한 기본적 논의

Ⅲ 전파

Ⅳ 이주

Ⅴ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