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유역에서 前方後園形 古墳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80년대 중반의 일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12기 중에서 6기가 발굴되었다. 이들 고분에 대한 관심이 한·일 연구자들 사이에 고조되면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이들 고분의 주인공이 在地勢力인지 아니면 倭와 관련된 인물인지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고, 또 고분이 만들어지게 된 당시 영산강유역의 정치상황이 어떠하였는지에 대한 논의도 계속되고 있다. 필자는 전방후원형 고분의 피장자를 왜인이나 왜계 백제관료로 보지 않고, 제지세력들에 의해 만들어진 고분으로 보고자 한다. 이들 고분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당시 이 지역의 수장층이 백제의 영향력을 벗어나 그들의 세력을 독자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일본 九州지역의 전방후원분을 받아들였던 것이다. 또 이러한 현상은 이 지역 토착세력들이 당시의 사회적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전방후원형 고분과 관련해서 미진한 문제들이 많다. 이를 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첫째, 국내외 고고학 자료에 대한 연구가 앞서야 한다. 특히 관련 연구자들은 전남지역의 유적과 유물에 대한 세밀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전방후원형 고분과 관련된 한·일 양 지역의 고고학 편년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특히 일본의 석실분의 연대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전남지역 석실분의 상대편년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셋째, 당시의 국제적인 동향이나 고분의 피장자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문헌사에서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신중하게 받아들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급한 주장을 자제하여야 한다. 어떠한 단정적인 주장은 일시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지만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된다면 곧 붕괴되었음을 2장 연구사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The keyhole-shaped tombs were found since the mined 1980 in Jeonnam Province. Until now 12 tombs were identified and 6 tombs of them were researched. As the concern about these tombs increased among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they suggested various opinions. Specially the point is whether the buried person of these tombs belonged to regoinal person or Wa related person. And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when the keyhole- shaped tombs were made. It is more reasonable that the burial person of these tombs was not Wa related person or Wa related Paekje officer, but it was regional person as many scholars agreed. And I think that the ruling classes of this region accepted the idea of the keyhole-shaped tombs from Fukouka region of Japan, because they are free from the Paekje regime and they want to express their power through them. It must be their aggressive gesture for social change of that times.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o solve on the keyhole-shaped tombs. Before solving these problems, we try to figure out some premis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materials in Korea and Japan is needed. Specially the tombs of the Jeonnam province are carefully researched and analyzed. Secondly, the chronology of the keyhole-shaped tombs of both Korea and Japan should be reconsidered. Specially the absolute date of the chamber tombs in Japan and the relative date of the chamber tombs in Jeonnam Province are also reconsidered. Thirdly, we carefully accept the result of ancient historical study in order to deal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burial person of these tombs. Lastly, we do not make haste with sudden assertion. Even if such an assumption had been concerned for a while, but it would not continue without having logical validity as it was reviewed in second chapter.
요약
Ⅰ. 머리말
Ⅱ. 연구
Ⅲ. 소위 倭人說에 대한 검토
Ⅳ.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