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國史略』, 『雙梅堂先生文集』등을 비교해 볼 때, 『東國史略』의 編修에는 이첨 역시 상당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첨이 『三國遺事』를 참고한 것은 확실하므로, 『東國史略』이 『三國遺事』를 직접적으로 참고했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1361년에 작성된 「慶州司首戶長行案」에 『三國遺事』가 직접적으로 인용되고 있음이 발견된다. 이와 같이 당시의 공문서에 인용될 정도로, 신라의 역사와 경주의 문화를 전하는 『三國遺事』에 대한 식자층의 수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360년에 건립된 백악궁의 존재를 통해서 『三國遺事』 古朝鮮條의 분주가 1360년 이후에 정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394년 본의 대본은 필사본으로서 1360년 이후에 완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고본에도 남아 있는 오탈자 가운데, 찬에 남아 있는 행초에 대한 오류를 통해서 최고본의 간행에 참여했던 교정자들의 미숙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또한 그러한 과정에서 행초로 필사된 사본을 대본으로 최고본이 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First, Lee cheum(李詹) played a leading role in compiling 「Dongkuksalyak(東國史略)」 which is conjectured to comprise the quoted passages from 「Samkukyusa」; which his 「a collection of Sang-mae(Lee cheum's nickname)'s works(雙梅堂先生文集)」 contains the same contents as those described in the section of ancient Korea in 「Samkukyusa」. Therefore, it seem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ongkuksalyak」 made a direct reference to 「Samkukyusa」 in its compilation. Second, the following two writings i.e. the writing of 1361, [an annually administrative report of the chief of kyungju's(慶州司首戶長行案)] refer to the book of 「Samkukyusa」 in each of them. 「the palace of bakak(白岳宮」 which was built in 1360 is also mentioned in the section of ancient Korea(古朝鮮條) in 「Samkukyusa」. When we scrutinize the above-mentioned two facts in the logical perspective, we may conclude that the 1394 edition of 「Samkukyusa」 which is generally surmised as a first edition may well be considered to have actually been completed on the basis of the tran-scribed texts which had been written down in 1361 or later.
요약
Ⅰ 『雙梅堂先生文集』에 나타는 『三國遺事』의 내용
Ⅱ 「慶州司首戶長行案」에 인용된 『三國遺事』
Ⅲ 古朝鮮條의 白岳宮과 筆寫本의 流通
맺음말
영문초록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