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대 동아시아 海上交易에서 百濟의 역할

The Role of Baekje in the Maritime Trade of Ancient East Asia

  • 970
101354.jpg

한반도를 에워싸고 있는 서해와 남해는 고대 동아시아 문물교류의 통로였다. 이를 통해 한∙중∙일 삼국 사이에 활발한 문물교류가 이루어졌고, 각국은 문화의 발전과 國富의 증진을 성취해갈 수 있었다. 따라서 이 항로가 어떤 이유에 의해서건 경색되게 된다면, 그 걸림돌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위만조선이 걸림돌이 되었을 때, 漢이 이를 멸하고 그곳에 낙랑군을 두어 교역의 대리역으로 삼았다. 그리고 낙랑군과 뒤에 신설된 대방군은 동아시아 국제교역의 대리역을 충실히 수행했다. 그런데 4세기에 들어 낙랑∙대방군이 고구려에 의해 축출되자, 한강하류역에서 일어난 백제가 그 역할을 자임하고 나섰다. 백제의 근초고왕은 그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하였고, 그 결과 백제는 해양강국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그러나 4세기 말경부터 고구려가 이에 반격을 가하면서 동아시아 국제교역의 새로운 장애물로 대두하였다. 동아시아 여러 나라는 다시금 교역 통로가 경색됨으로 인해 고통을 받아야 했다. 백제는 주변국가를 설득하여 反高句麗 국제연대망을 구축하여 대항하였으나, 고구려의 강력한 저지선을 돌파하는 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미 고구려는 중국의 남∙북조 및 북방의 柔然과 4강의 세력균형을 구축해 놓은 상황이었기 때문에 누구도 고구려의 교역 방해 공작을 쉽게 저지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근초고왕 대의 해양강국을 재건하려는 백제의 노력은 번번이 수포로 돌아갔으며 숫한 시련과 좌절을 맛보아야 했다. 내분이 일어나 국왕이 시해되기도 했고, 충실한 백제의 추종세력이던 왜가 백제를 통하지 않고 중국 남조와 직접 거래하는 ‘홀로서기’를 시도하기도 하여, 백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그렇지만 백제의 해양강국 재건의 꿈은 무령왕대에 이루어졌다. 신라∙가야∙왜, 그리고 중국 왕조와의 연맹관계를 회복∙강화하고, 고구려를 군사적으로 압도하면서, 서해와 남해의 연안항로를 재개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써 백제는 다시 강국이 되었음을 국제적으로 공인받고 동아시아 국제교역을 주도적으로 중개해 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추세는 성왕 대에까지 이어졌다. 그렇지만 이것은 오래가지 못했다. 곧바로 신라의 도전이 이어졌던 것이다.

The Yellow Sea and the South Sea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were important channels for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ancient kingdoms in East Asia. Each kingdom in Korea, China, and Japan was able to achieve cultural development and wealth via the exchanges. Any obstacle that blocked the maritime routed linking between kingdoms had to be removed. When Wiman Joseon(衞滿朝鮮) began to pose a threat, Han China destroyed the kingdom and established Nangnang Commandery(樂浪郡) and, later, Daebang Commandery(帶方郡) on the Korean peninsular to use them as the base for its international trade with the rest of the region. When the two Han Commanderies were eventually ousted from the peninsula by Goguryo(高九麗) in the 4th century, Baekje(白濟) began to emerge as a power that would succeed the role the two Han commanderies had played.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近肖古王) that Baekje established itself as a major maritime power in East Asia. In late 4th century, however, Baekje's role as a mediator for international trade began to be checked by Goguryeo, and the regional maritime trade persuaded neighboring countries to form an international alliance against Goguryeo to restore the disrupted maritime trade routes. However, the kingdom never succeeded in holding its enemy in check because by that time Goguryeo had already become one of the major powers in East Asis in close cooperation with both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China as well as a northern kingdom called Yuyeon.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Baekje suffered a serious setback caused by Goguryeo's interruption of the kingdom's efforts to regain its maritime power. Baekje also suffered from a series of political and economic disturbances that broke out during the same period. A king was murdered in an internal struggle for power, and Wae bagan to independently contact the Chinese southern ddynasties without Baekje's mediation.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武寧王) that Baekje regain its maritime power. The kingdom finally restored its alliance with Silla(新蘿), Gaya(加耶), Wae(倭) and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reopened its maritime trade routes while efficiently blocking interruptions by Goguryeo. Baekje's prosperity as a leading maritime power in the region continued until the reign of King Seong(聖王), when the kingdom began to be seriously challenged by Silla.

요약

Ⅰ 머리말

Ⅱ 海洋强國으로 부상한 백제

Ⅲ 외부세력의 도전과 백제의 시련

Ⅳ 海洋强國재건을 위한 백제의 노력

Ⅴ 맺음말

영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