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1360.jpg
KCI등재 학술저널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과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성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of Chronology and techno-typological Character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 572

본 연구에서는 서구에서 대체로 후기구석기시대로 보고 있는 40,000년 전 전후의 절대연대를 낸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유적들의 석기문화를 기준으로 그러한 석기문화가 언제부터 나타나서 언제까지 지속되며 특히 후기구석기시대로 규정할 만한 어떤 기술형태적인 변화가 있는가 하는 점을 보고자 하였다. 절대연대를 통해서 자갈돌석기전통이 연속되고 있다는 증거들이 그동안 불충분하였으나 최근 자료들을 통해서 보다 분명한 문화적인 현상이었음을 밝혀 낼 수 있었다. 후기구석기시대에 접어들면서 중기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전통이 약 25,000년 전까지 동일한 석재와 대표적인 중량석기들을 유지하며 새로운 격지석기들을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에 따른 기술형태적 특성이 격지를 얻는 단계로부터 변화가 일어났다고 생각된다. 한편 그러한 변화에 따라 중기구석기시대의 마지막단계에서 시도되어온 새로운 석재에 대한 탐구도 지속되었다. 격지석기들 가운데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환경에 적응된 지표석기인 슴베찌르개와 같은 석기들도 활용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New C-14 dating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understand cultural character and chronology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On the resul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chronology and techno-typological character Upper Paleolithic started and developed to base on the pebble tool traditional from 40ka to 25ka B. P. Paleolithic sites dated by the 40ka-50ka are Bongmyungdong site, Hahwagaeri site and Dangga site. Absolute dating data on paleolithic sites dated by 40ka-25ka are getting more increase. Typical sites are Nobong site, Gigok site, Jeongjangri site, Yonghodong site and Hopyongding site. On the techno-typological research of these sites, Paleolithic people used typical heavy weight tools with flake tool kits. So they made regionalized standard stone artifacts(specially tanged point) which were adapted in paleoenvironmental system in Korean Peninsula.

요약

Ⅰ. 머리말

Ⅱ.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에 대한 제 견해

Ⅲ. 후기구석기시대 전개와 연관된 절대연대와 석기문화

1. 40ka-50ka 연대를 가진 유적과 석기문화

2. 40ka-25ka 연대를 가진 유적과 석기문화

3.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성과 절대연대와의 연관

4. 절대연대, 지층 그리고 석기문화의 상관성

Ⅳ. 맺음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