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1357.jpg
KCI등재 학술저널

中國 三燕 墳墓와 慶州 皇南大塚 南墳의 比較 考察

A comparative study on the Xianbi Burials of Three Yans Period and Hwangnamdaechongnambun of Gyeongju Silla

  • 581

3세기말부터 5세기초에 걸쳐 조성된 삼연 분묘에는 漢代 중국 중원의 요소도 반영되어 있으나, 영락(보요) 장식의 장신구와 마구의 부장은 鮮卑族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영락 장식 장신구와 마구의 부장은 한반도 삼국시대 고분에서도 공통되며, 특히 황남대총 남분 부장품 중 장신구와 마구, 그리고 훼기나 장식마구의 매납 등은 삼연 분묘의 葬俗에서도 관찰되는 특징으로 황남대총 남분의 축조에 삼연의 영향이 미쳤음을 시사한다. 삼연 분묘의 영향은 무덤의 계보를 판단하는데 유의한 구조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마구나 장신구 등의 부장품에서 관찰된다. 황남대총 남분의 삼연 문물과 관련을 보여주는 부장품들은 5세기 고구려와 신라의 우호관계를 고려해 볼 때 고구려를 통해 유입된 삼연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신라가 거대한 무덤을 축조하고, 다종, 다양의 문물을 부장할 수 있었던 것은 북방기만민족의 이주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고구려와의 우호관계 속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촉하였던 신라의 내적 성장의 결과라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o the comparison of mortuary practices with Three Yans Period of norte-eastern China and Silla of Korea. Three Yans are the Kingdom of Former Yan, Later Yan and Northern Yan from late 3th century A.D. to early 5th century A.D. which were erected by Xianbi of North-eastern China. The Three Yan's Burials included the material tradition of Han dynasty of center China and Xianbi's tradition. The burial tradition of Xianbi was the golden ornament and the decorated harness which were common with Goguryo, Paekje, Silla and Gaya. Especially some of burial materials of the huge mounded Tomb called Hwangnamdaechongnambun of Silla were resemble with the ones of Three Yans and Goguryo, Therefore it was inferred that the Hwangnamdaechongnambun was effected by Xianbi of Three Yans Period through Goguryo.

요약

Ⅰ 中國 三燕 墳墓의 特徵

1. 墳墓의 時空的 節圍

2. 構造 特徵

3. 副葬內容

4. 三燕墳墓의 特徵

Ⅱ 慶州 皇南大塚 南墳의 特徵

Ⅲ 中國 三燕 墳墓와 慶州 皇南大塚 南墳의 比較

1. 構造와 葬俗

2. 副葬品과 副葬配置

3. 皇南大塚 南墳에서 보이는 三燕 墳墓의 影響

맺음말

영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