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반구대 암각화의 제작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iple Drawing Planes of the Bangudae Petroglyphs

  • 310
101374.jpg

반구대암각화가 어느 한 시기에 일률적으로 제작된 결과물이 아니라는 관점에서 연구자들은 유적을 보아왔다. 그런 관점에서 새김법과 함께 중첩상태를 보이는 그림을 분석한 결과, 면새김그림이 선행방식이고 선새김그림은 나중에 그려진 것이라는 연구 성과가 발표된바 있다. 그러나 필자의 조사결과, 이미 발표된 성과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 표현물, 즉 그와 반대현상을 보이는 그림을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접근방법을 바꾸어 암각화의 중첩상태를 분석·분류해서 반구대암각화제작의 선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것은 다른 연구자에 의해 실시된바 있는 제작기법으로 분류하는 것보다 세밀한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중첩상태를 보이는 그림그룹을 분석하여 몇 개의 표본그림을 추출하고, 이 표본그림을 중심으로 제작의 시기나 주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 그림의 유형에 따라 각 Type별로 분류하였다. 필자의 분류에 따르면 모두 5개의 제작층별 그림을 제작순서에 따라 도출 해낼 수 있었다. 층별제작순서는 중첩그림의 겹쳐진 순서에 따랐다. 이러한 연구는 어느 한 시기에 같은 집단에 의해 표현되는 그림은 동일한 유형으로 제작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시도된 것이다.

Researchers of the Bangudae Petroglyphs viewed that it had not been done at a time. Based on the analysis of multiple drawing planes and different methods of engraving, it is claimed that the linedrawed plane precedes the carved plane. However, it is newly found that some drawings betray this binary plane interpretation. Therefore the author proposed a new classification of drawing planes based on more than two drawing methods. Based on the overlappings of the drawings, all drawings we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and those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ypes based on different drawing times and subjects ascertained in sample drawings of those groups.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five drawing planes can be proposed to be discriminated, which are mainly based on the overlapping condition of drawing planes. In fact, this study is tried on the hypothesis that different people in different time had left different type of drawing on a petroglyph.

요약

Ⅰ. 머리말

Ⅱ. 제작층과관련한연구성과

Ⅲ. 반구대암각화의제작층분석

Ⅳ. 제작층별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