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일본 죠몽·야요이 전환기의 석기 변화

The Stone Tools Change in Transition from Jomon to Yayoi in Kinki Area, Japan

  • 776
101375.jpg

일본 죠몽·야요이 전환기의 석기 연구에 대해서는 기존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개별적인 특징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죠몽시대의 석기에 대륙계 마제석기의 추가로서 그 변화 양상을 간단히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해, 일본의 킨키지역을 대상으로 죠몽·야요이 전환기에 있어서 석기변화의 전체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우선 일본 전환기의 석기 연구사를 검토하고 전환기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인 문화 요소의 구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킨키지역을 지형에 따라 5 지역으로 구분하여, 죠몽시대 후기·만기와 야요이시대 전기·중기의 유적을 대상으로 석기의 변화 양상을 검토한 후, 석기를 용도별로 구분하여 각 석기군의 비율 변화를 확인하여 각 석기군의 구체적인 변화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킨키지방 전환기에 있어 석기의 변화는 그 내용에 있어 기종의 소멸·지속·등장과 각 석기군에 있어 추가·대체, 또한 석재의 사용에 있어서 기존의 석재사용, 죠몽시대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석재의 사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ntil now, there are several studies about stone tools in transition from Jomon period to Yayoi period in Japan. But most of previous studies, they treat individual features or explain simply as addition of continental polished stone tools on Jomon stone too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stone tools in transition in Kinki area as a whole. First of all, I explain the past studies about stone tools in transition era and division of cultural elements in Yayoi period. And I examine the aspect of stone tools change from late and final Jomon to early and middle Yayoi in Kinki area which is divided in five regions. The stone tools are classified as functional category and I examine proportion of categories and concrete aspect of change. As a result, I found stone tools change in transition from Jomon to Yayoi in Kinki cannot be briefly explained as addition of continental polished stone tools. In the change, there are various aspects, such as extinction, continuance, appearance of stone tools and addition, alternation in the categories and use of established stone sources or use of new stone sources from the point of stone sources. It could be said that stone tools change in transition era in Kinki area, Japan, is complex and has various aspects.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죠몽·야요이 전환기 석기 연구사와 문화 요소의 구분

Ⅲ. 석기 조성과 용도별 석기군의 변화

Ⅳ. 킨키지방 전환기의 석기 변화

Ⅴ. 맺음말

영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