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1351.jpg
KCI등재 학술저널

嶺南地方 粘土帶土器文化 試論

A Study for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in Young-nam Area

  • 833

中國 遼河유역에서 발생한 점토대토기문화는 B.C.300년을 전후한 시점에 한강, 금강 및 낙동강유역으로 도래하였다. 그 중 낙동강유역으로 들어온 점토대토기문화는 B.C. 3세기중엽 이후 영남 해안지방과 영남 내륙지방에서 지역색을 보이며 각각의 양식으로 발달한다. 영남해안양식에 속하는 지역은 부산·김해·고성·사천 등 彌生土器의 분포지와 일치하며, 영남내륙양식은 합천·고령·대구·칠곡 등 낙동강중류역이 중심이 된다. 해안양식 점토대토기의 경우 在地的 器形에 일본 彌生土器의 일부요소를 채용하여 늑도유적에서 처음으로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발생하는데 B.C. 2세기중엽경이다. 내륙양식 점토대토기는 이보다 약간 늦은 B.C. 2세기후엽경 정도에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내륙양식 점토대토기는 그다지 성행하지 못한채 쇠퇴하였으며 B.C. 2세기후엽 이후 영남내륙지방에 해안양식 점토대토기의 영향이 미친다. 이후 B.C. 1세기대 서북한지방과의 접촉과정에서 新製陶術의 도입으로 점토대토기는 와질토기로 변모해 가는데, 그 변화과정을 가장 잘 살필 수 있는 곳이 대구팔달동유적이다. 여러 기종 중 소형옹과 조합우각형파수부장경호에서 이러한 변화를 잘 살필 수 있다. 특히 소형옹의 경우 勒島期에 연속되면서 와질토기 발생기에 이르기까지 계기성을 가지는 다양한 형식이 출토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팔달동유적을 비롯한 영남내륙지방에서 와질토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와질토기의 발생과 더불어 점토대토기를 비롯한 무문토기는 쇠퇴하며 와질토기와 연질토기로 대체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ocial aspect of early Three-han(三韓) age in Young-nam area.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that had arisen in Chinese Liao(遼) river basins, crossed over to the Korea peninsula, dividing into Gum(錦), Han(漢) and Nakdong(洛東) river basins. Among them,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in Young-nam area(Nakdong river basins) was devided to coastal and inland styles after the middle of the 3rd centruy B.C. The coastal style includes Busan, Gimhae, Goseong and Sacheon, and the inland style includes Hapcheon, Goryoung, Daegu and Chilgok. In case of the coastal style, the culture of pottery with triangular clay stripes appeared at about middle the 2nd century B.C., and inland style appeared at about the late 2nd century B.C. Because of new making pottery techniques from the north-western of the province of Korea in the peninsula, grey pottery arose in Young-nam inland area such as paldaldong, Daegu, the 1st century B.C. After the origination of grey pottery, however, plain coarse ware pottery such as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gradually declined and was replaced with grey and reddish soft pottery.

요약

Ⅰ. 序論

Ⅱ. 嶺南地方 粘土帶土器의 編年

Ⅲ. 八達河遺蹟 無文土器의 編年

Ⅳ. 嶺南地方 粘土帶土器文化 展開樣相

Ⅴ. 結論

영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