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1358.jpg
KCI등재 학술저널

廣開土王陵碑文의 建碑目的과 加耶關係記事의 해석

An Examination of the Purpose of the Erection of the Gwanggaeto's Stele and the Interpretation of Its Inscription Concerning Gaya

  • 345

가야사 연구의 어려움은 자료가 부족한 점에 있다. 따라서 가야사 연구에서는 극히 단편적인 자료라 할지라도 다각도로 연구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광개토왕릉비문에 새겨져 있는 가야관계기사도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광개토왕릉비를 세운 목적을 간과한 채 연구가 이루어져 기사가 담고 있는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었다. 본고에서는 광개토왕릉비를 세운 목적, 즉 비의 성격을 염두에 두면서 가야관계기사들을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비문의 훈적 기사는 守墓人 차출과 관련하여 새겨진 것으로 보았다. 이른바 辛卯年條는 韓穢지역으로 출정하기 위한 전쟁의 명분기사로 파악하였다. 이는 대전치문으로 작용하는 것이지만 韓穢와 관련있는 영략 6년, 9년 10년, 14년, 17년조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았다. 1면 9행 13번째 字는 원석탁본을 바탕으로 泗로 읽었다. 泗는 현 경남 사천지역을 나타내는 것임으로 해서 가야와 관계있는 기사로 파악하였다. 본고에서는 신묘년조에 대한 해석을 ‘백제와 신라는 예부터 [우리 고구려의] 속민이었다. 그래서 조공을 해 왔었다. 그런데 왜가 신묘년에 사물(泗; 泗川)을 건너 백제를 치고 신라도 □□하여 신민으로 삼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 고구려의 남정에 대한 전쟁의 명분일 뿐이며, 역사적 사실은 아닌 것으로 보았다. 임나가라는 南加羅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다. 安羅人戍兵에 대해서는 安은 동사로 보았으며, 羅人戍兵은 고구려의 군대로 보았다. 고구려는 정복한 韓穢 지역 가운데 수묘인을 차출한 백잔에 대한 조치 외에도 신라와 가라지역에 대한 조치 내용도 적기할 필요성이 었었을 것이다. 백잔과 신라에 대한 조치 내용은 알 수 있지만 가야지역에 조치 내용은 비문의 결락으로 알 수 없었는데, 본고에서는 安羅人戍兵을 그 조치 내용으로 보았다.

A lack of documentary sources makes it difficult to study Gaya history. Therefore, even a fragmentary material source has been widely us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Gaya history. A great deal of research concerning historical sources appear on the Gwanggaeto's stele has been conducted. Unfortunately, however, it has not been possible to understand the exact meaning of the entire inscription. I think that this may have been caused by the fact that most scholars have conducted research without paying a close attention to figuring out the purpose of the stele erection. This paper examines the inscription concerning Gaya appear on the stele in conjunction with the stele erection purpose.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inscription of the stele, it turned out that accounts concerning the military career and accomplishments carried out by King Gwanggaeto was closely related to drafting people for guarding his burial. I also asserted that the historical account of the year of Sinmyo [sexagenary cycles] had to do with pretext for penetrating into Han and Ye regions. Based on the ink rubbing of the original stele, I decoded the 13th Chinese character of the ninth line in the first face of the stele as '泗.‘ Since this word indicates the present area of 'Sachun' (泗川)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I argued that his account is related with Gaya. I also considered Imnagara as Namgara[Southgara]. I regarded An (安) appears on Anlla people's garrison as a 'root,' and regarded Na people's garrison as Goguryo soldiers. Goguryo people might have to take an action against people, whom they conquered, particularly Baekje people whom they had drafted people for guarding burials. Besides, it was necessary for Goguryo people to take some political action against Gaya and Silla regions as well. There has been a general consensus on what Goguryo people because of a damaged part of the stele. In this paper, I argued that Anlla people's garrison was the result of Goguryo's action against Gaya region.

요약

Ⅰ 머리말

Ⅱ 碑의 近況과 建碑目的

Ⅲ 啤文上의 加耶關係記事

Ⅳ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