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양구읍 상무룡리에서 출토된 흑요석 21점에 대하여 주요성분, 미량성분 및 미세결정을 관찰하였다. 주요성분 함량을 이용하여 각 흑요석을 화학적으로 분류한 결과 대부분 유문암이었으며, Subalkaline 계열의 흑요석이었다. 또한 미량성분 함량에 따른 흑요석 분류결과에서는 크게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이러한 미량성분의 조성별 차이로서 나타난 세 그룹은 각 그룹에 속하는 흑요석의 산지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흑요석의 미세결정을 관찰한 결과 대부분 시료에서 나타나는 모양은 trichite-acicular이고, 그 밖에 cumulite 또는 feather 모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량성분을 이용한 분류결과에서는 세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나, 미세조직을 통한 흑요석 분류에서는 뚜렷하게 구분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상무룡리 유적에서 입수한 흑요석의 화학 성분 및 미세결정의 특성은 이 유적의 흑요석 문화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과학적 자료이며 향후 다른 유적의 흑요석과 상호비교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다.
An Analysis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e of twenty- one obsidian artifacts found in Sangmuyonri, Yanggu, Gangwondo was carried out. Most of obsidian artifacts us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e subalkaline and rhyolite series based on major elements in the samples. The result of province classification using minor elements showed that three major groups were identifie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are no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groups whose provenances are different. Texture of most obsidian artifacts in this study showed the trichite-acicular, partly cumulite or feather shape. Although provenance classification using minor elements identified three groups, texture of obsidian artifacts does not yield clear grouping.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e of obsidians found in Sangmuyongri site belong to the scientific data that will help explain the culture of the site. And, this research will furnish scientific data permitting comparison of obsidians excavated from other sites.
요약
Ⅰ. 머리말
Ⅱ. 분석대상시료 및 분석방법
Ⅲ. 분석결과
Ⅳ.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