松菊里文化에 대한 접근은 개별 유구나 유물 등 다방면에 걸쳐 검토되었는데, 최근에 들어 문화 자체의 성립과 파급이 어떠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여러 논고가 발표되었다. 松菊里文化의 성립배경에 대해서는 自體發生說과 外來影響說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체발생설은 松菊里住居型에서 역삼동계토기가 공반되면 先松菊里類型, 송국리형토기가 공반되면 松菊里類型으로 설정하고 先松菊里類型에서 松菊里類型에로 변화발전 하였다고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先松菊里類型도 지역에 따라 뚜렷한 차이점이 발견되기 때문에 단순하게 선후관계의 논리로 설명하기에는 부적절한 측면이 많았다. 또한, 실연대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논리를 뒷받침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外來影響說은 완성된 문화체계가 한 지역에 정착한 후, 각지로 파급되어가는 과정에서 지역집단의 기반에 따라 다양성이 나타난다고 보는 견해이다. 필자는 후자를 지지하는 입장에서 松菊里文化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松菊里住居型의 등장이 이전의 주거문화 속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으로 새로운 문화체계와 관련시키지 않고서는 납득하기 어렵다. 송국리형 자비용토기의 등장도 松菊里文化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제2차적 요소에 속한다. 그러나 토기는 지역집단의 전통이 매우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문화를 수용한다하더라도 토기형태 및 제작방법은 在地的인 기반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예는 北部九洲地域의 彌生文化가 각지로 파급되지만 각 지역의 토기는 재지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 크다. 이에 필자는 松菊里文化類型이 각 지역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8개 유형으로 구분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松菊里文化가 어느 지역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성립된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지금부터 풀어야될 과제로 남을 수 밖에 없다.
There has been a debate on whether Songgukri culture emerged indigenously or by an outer influx. The indigenous emergence theory explained the change from-pre-Songgukri type which accompanies. Yeoksamdong style pottery to Songgukri type with Songgukri style pottery in time sequence. However, the fact that pre-Songgukri type has wide variety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results of carbon dating make this theory less plausible. On the other hand, the outer influx theory insists that regional diversity was formed in process of cultural spreading from a certain area where the completed curtural complex arrived. It appears to be more reliable. The emergence of Songgukri style dwelling which doesn't exist in previous period couldn't be explained unless it's associated with new cultural complex. In addition, it is accompanied by the emergence of Songgukri style cooking pot. However, by the nature of the pottery which tends to be affected by the indigenous communities' traditions, the style of pottery and making method appear various on the base of different regions. It is indicative the fact that the potteries had retained the traditional elements when Yayoi culture and spread in the Northern Kyushum Japan. Now Songgukri culture in the central South Korea is divided into eight different sub-types. It remains to be solved which sub-type was affected by outer influx first.
요약
Ⅰ. 序言
Ⅱ. 松菊里文化의 認識
Ⅲ. 松菊里型聚落의 分布와 土器相
Ⅳ. 松菊里文化의 類型과 屬性
Ⅴ. 文化接觸과 文化變化로 본 松菊里文化
Ⅵ. 結語
참고문헌
영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