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유물군의 조성을 비교 검토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특정 석기 형식의 존부나 퇴적층에 대한 기술(記述)에 치중하여, 구석기 유물군의 전반적인 조성 및 그러한 석기군들의 상호 비교에 대해서는 별다른 분석적인 검토를 하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층위를 이루며 복수의 유물층을 가진 유적들을 검토하여 한국 구석기 기술체계의 전반적인 양상와 진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가능하면 많은 층위 유물군 자료를 종합하고 정리함으로써 석기군 구성의 패턴을 인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주먹도끼-찍개-다각면석기를 중심으로 하는 석기군과 둘째, 소형 석영암 석기 중심의 석기군, 셋째, 돌날석기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군, 넷째, 잔석기가 주도하는 석기군이라는 네 가지 석기군의 유형, 곧 기술전통(체계)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토양쐐기를 가진 구석기 퇴적층의 형성에 관한 최근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들 석기군이 어떠한 층위적 분포를 가지고 있는지를 논하고, 더불어 최근 절대연대값들의 축적에 따른 진전된 편년관과도 대비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구석기시대 석기군의 구성의 양상과 변화를 구체적으로 적시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성을 모델로 제시하고, 결코 단석적인 시각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lithic assemblage composition of the Korean Paleolithic and its change through time, although few, if any, analytical works have been devoted to this important aspect. Beginning with a sketchy review of stratigraphic assemblage sequence from representative sites, the present essay provides large scale comparative data of lithic assemblages throughout the middle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an attempt to recognize patterns of Paleolithic assemblage composition. Four assemblage types, representing technological systems or traditions of Paleolithic technology, are recognized: (1) Handaxe-chopper-polyhedral traditional, (2) Small quartzite artifact dominant tradition, Blade and tanged point dominant tradition, and finally (4) Microlithic tradition. Distributions of these four assemblages types along the stratigraphic sequence are also discussed along with recent progess in Paleolithic chronostratigraphy based on absolute dates and tephrachronology. The comparative analysis suggests that a unilinear model, such as three period system embracing the concept of Middle Paleolithic, is not adequate to describe and explain diversity and changes in Paleolithic assemblages. Rather, the evolution of the Korean Paleolithic sequence can be modeled focusing on the coexistence and differential persistence of alternative lithic technological systems.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대표적인 층위 유물군 검토
Ⅲ.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기술의 전통
Ⅳ. 한국 구석기 기술전통의 구조와 진화
Ⅴ.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