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 영상을 사용한 3차원 모델링시 지상기준점수에 따른 정확도 평가
Estimating Accuracy of 3-D Models of SPOT Imagery Based on Changes of Number of GCPs
- 한국측량학회
- 한국측량학회지
- 한국측량학회지 제21권 제1호
-
2003.0361 - 69 (9 pages)
- 5

입체위성영상을 사용하여 생성된 수치표고모델과 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에서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특히 지상기준점의 수량이 영상모델링과 수치표고모델, 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영상처리 방법으로 공간해상도가 10m인 SPOT 흑백영상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 수량을 10~30개까지 5개단위로 증가하여 각각의 모델링과 수치표고모델, 정사영상을 생성하였다. 정확도평가는 20개의 검사점을 사용하여 정사영상상에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지상기준점 수가 10~30개 사이에서 모델링의 표준오차는 1화소 미안으로 나타났다. 정사영상을 사용한 수평 · 수직오차는 기준점수가 증가 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상기준점 10~15개가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상기준점 개수와 정사영상 위치정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향후 개선방안과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ere is various kinds cause that influence to created DEM and orthoimage using stereo satellite images. Specially, research about effect that GCP number gives to accuracy of DEM, orthoimage and modeling may have to be gone ahead. Therefore, this research increases GCP number by 5 to 30 and created each modeling, DEM and orthoimage using SPOT panchromatic images that resiolution is 10m by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ccuracy assesment did by orthoimage using 20 check point. As a result, GCP number between 10~30 modeling RMSE is 1pixel low appear. Horizontal · vertical error that use orthoimage looked tendency that decrease GCP number increases, and cinfirmed by the most economical in GCP number 10~15. Also, analyze correlation of GCP number and orthoimage position accuracy and presented improvement plan and research task hereafte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