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측심기와 위성항법을 이용한 하천의 수심 측량
Measuring Water Depth by Using a Combination of GPS/Echosounder
- 한국측량학회
- 한국측량학회지
- 한국측량학회지 제20권 제4호
-
2002.12375 - 381 (7 pages)
- 40

하천이나 해양의 수심에 관한 정보는 주로 수면에서 해저까지의 음파신호의 왕복시간을 관측하는 음향측심에 의해 취득되며 이외에도 사진측량, 수중측량, 레이저 측량 등이 있다. 이 방법은 주로 수심이 얕은 해안이나 하천 등의 항로도 작성에 이용된다. 한편 부유물질의 영향이 적고, 수질이 양호한 해역에서는 항공사진 또는 인공위성 영상을 활용할 수도 있다. 현재 우리 나라의 경우 전반적인 수심측량이 완료되었으나, 측량된 수심의 점밀도가 비교적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음향측심기를 이용해 하천의 수심을 측정하고, GPS-RTK기법으로 평면위치를 측량하여 격자 수심도를 작성하여 그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음향측심기에 의한 수심측량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하고 경제적인 수심측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Depth of water information is obtained mainly from echo-sounding instrument which observes the round-trip time of signal from water surface to the bottom. Photogrammetry, underwater survey and laser survey etc. are also used as another method of bathymetric surveying. These methods are used specially for making track chart in a shallow water area. On the other hand, aircraft or satellite imagery ara also used in the sea area where the effect of suspended material is low and water quality is good. Presently, general bathymetric surveying has been performed in our country, but the spatial density of surveyed point are relatively low. Therefore, in this study we built a grid water depth chart which measured combing echosounder with GPS-RTK method and the depth accuracy was analyzed by using the data of direct survey water depth. As a results, the bathymatric mapping which use echosounder is more economical metho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