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의 계절별 특성을 고려한 고정확도 GPS 수증기 추정 모델링

GPS water vapor estimation modeling with high accuracy by consideration of seasonal characteristics on Korea

  • 26
101869.jpg

본 연구에서는 GPS 관측 데이터로부터 가강수량을 복원하는 과정에 있어서 한국의 계절별 특성을 고려한 가중 평균 기온 모델(Tm)을 개발하고 3개소 GPS 상시관측소에 대하여 이를 적용하였다. 가중 평균 기온은 지역의 수증기 압력과 기온 프로파일에 관계하기 때문에, GPS 대류권 습윤 지연으로부터 추정한 수증기 정보의 정확도는 가중 평균 기온 추정 정확도에 비례하게 된다. 다른 국가에서 제시한 모델들과 비교하여 한국의 계절별 가중 평균 기온 모델의 적용이 GPS 가강수량 추정 정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실제 습윤 지연량을 가강수량으로 환산하는 단계에서 계절적으로 적합한 가중 평균 기온 모델은 다른 모델들에 비하여 대류권에서의 GPS 신호 지연으로부터 가강수량 추정의 상대적 편의 제거 효과가 크기 때문에 고정확도 수증기량 추정에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The water vapor weighted vertically mean temperature(Tm)model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consideration of seasonal characteristics over the Korea, was used in the retrieval of precipitable water vapor (PWV) from GPS data which were observed at four GPS permanent stations. Since the weighted mean temperature relates to the water vapor pressure and temperature profile at a site, the accuracy of water vapor information which were estimated from GPS tropospheric wet delay is proportional to the accuracy of the weighted mean temperature. The adaption of Korean seasonal weighted mean temperature model, as an alternative to other formulae which are suggested from other nation, provides an improvement in the accuracy of the GPS PWV estimati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asonally appropriate weighted mean temperature model, which is used to convert actual zenith wat delay (ZWD) to the PWV, can be more reduced the relative biases of PWV estimated from GPS signal delays in the troposphere than other annual model, so that it would be useful for GPS PWV estimation with high accurac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