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AT TM DATA를 利用한 솔잎혹파리 被害地域抽出에 관한 硏究
A Study on Extracting a Pine Gall Midge Damaged Area Using Landsat TM Data
- 한국측량학회
- 한국측량학회지
- 한국측지학회지 제6권 제2호 (현.한국측량학회지)
-
1988.1242 - 51 (10 pages)
- 11

本 硏究에서는 人工衛星 데이터를 使用하여 솔잎혹파리에 의한 山林被害를 抽出해 봄으로써 人工衛星 데이터가 山林의 病蟲害感知에 유용함을 입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하겠다. 또한 이러한 山林地域 被害地抽出에 유용한 Band의 選定과 山林地域에서 나타나는 그림자의 影向을 減少시켜 보다 정확한 分析結果를 얻는 것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人工衛星 데이터는 LANDSAT-5의 TM을 使用하였으며 分類正確度 向上과 그림자 影響의 減少를 위하여 畵像處理技法인 Spatial Filtering과 畵像間演算處理를 행하였다. 硏究結果 TM 데이터는 山林의 病蟲害被害地域感知에 유용하였으며 植物에 대한 分類時 Band 4와 Band 5가 효과적이었다. 또한 Spatial Filtering과 畵像間演算處理는 그림자 影響減少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畵像間演算處理는 山林과 기타地域과의 分類正確度 向上에도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e effectiveness of Landsat data in detecting the stressed areas in forest by extracting these areas. And also to choose the effective bands for this type of survey and to reduce the effect of shadow in forest to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are the other objects. In this study Landsat-5 TM data is used an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spatial filtering and ratio are taken to reduce the effect of shadow and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As a result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 Landsat Tm data is useful to detect the stressed areas in forest. Second, when detecting the stressed area, band 4 and 5 are the most effective. Third, spatial filtering and ratio are useful to reduce the effect of shadow and improv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Especially, ratio has great effect on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accuracy between forest and other area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