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形空間情報體系를 利用한 都市地域의 整地標高 算定에 關한 硏究
A Study on Calculation of Readjustment Height of Urban Region by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Focused on the Region of YOUNGDO-GU, PUSAN
- 한국측량학회
- 한국측량학회지
- 한국측지학회지 제12권 제1호(현.한국측량학회지)
-
1994.06119 - 129 (11 pages)
- 5

지형공간정보체계는 광범위한 응용기술과 정부, 기업, 과학의 많은 분야의 종사자들에게 매우 큰 관심거리이다. 토목의 여러분야에 있어서 절토량과 성토량을 추정하기 위해 지형을 모델화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공사전의 수치지형모델을 작성하고 공사 후에 변화된 지형을 나타내는 예측 수치지형모델을 만든다. 토목공학의 중요한 요소인 토량산출을 위해 사다리꼴 법칙, 심프슨 1/3 법칙과 3/8법칙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그리고 경사는 수평면에 접하는 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경사는 표고의 변화율인 기울기와 최대고도 변화율이 일어나는 방향의 두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량의 산출 및 정지표고 산정, 경사도 방향등의 공간정보를 도출하여 그 결과를 얻었다.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cover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and is of great potential interest to many users in government, industry and science. In many civil engineering problems it is necessary to model a landform in order to be able to removed or to be brought in to make the site ready for the proposed developed. The earthwork volume, could be calculated by the trapezoi-dal formula, Simpson's 1/3 and 3/8 rules. And slope is defined by a plane tangent to the surface as modelled by the digital terrain model at any given point and comprises two components namely, gradient, the maximum rate of change altitude, and aspect, the compass direction of this maximum rate of change. the thesis is the earthwork volume could be counted, readjustment height, slope and aspect analysis of various derived products can be obtained form geo-spatial information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