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Digital Photogrammetry and Its Role in GIS

  • 5
101662.jpg

수치사진측량은 1960년대 처음으로 도입되었지만 당시 컴퓨터 및 수치영상처리 기술의 한계로 발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컴퓨터기술과 영상처리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사진측량분야에서 그 영역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또한 인공위성 CCD카메라, 사진 수치정사(스닝) 등에 의해 대량의 수치데이타를 얻을 수 있게 됨으로써 수치사진측량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인 사진측량과 수치사진측량은 초기의 입력데이타(아날로그/수치)에 따라 확연히 구분된다. 즉 수치사진측량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영상처리의 완전자동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수치사진측량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고 실제로 이론과 기술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효율적인 수치지도제작과 경제적은 GIS 데이터베이스구축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GIS와 수치사진측량기법의 연계는 필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수치영상과 수치사진측량 워크스테이션 등 수치사진측량의 현재수준과 GIS에서 수치사진측량의 역할에 대해서 논의 하였다.

The idea of digital photogrammetry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photogrammetric community in early 1960s'. At that time, it was impossible to implement the idea due to inferior comput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With the recent advancements in computer hardware/software and image techniques, digital photogrammetry has made its entry into the field of photogrammetry. The advent of digital photogrammetry also resulted from the increasing amount of digital data acquired through satellites, CCD cameras and digital scan-ning of photographs. Obviously, the major distinction between conventional photogrammetry and digital pho-togrammetry lies in the nature of primary input data (analogue versus digital), which could lead to a fully au-tomated digital photogrammetric workstation. However, since digital photogrammetry is in its infant stage, vir-tually every task is an unsolved problem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theories and techniques. Upon considering the increasing demand of efficient digital mapping method and economical GIS database generation, the union of GIS and digital photogrammetry becomes ever clear. In this paper, the author addresses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photogrammetry such as digital imagery and digital phtogrammetic workstation as well as the role of digital photogrammetry in GI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