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수치정보에 의한 문화재의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of the Cultral Properties Using the Digital Informations

  • 21
101663.jpg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3차원 정밀 측위와 이의 분석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재의 보존·복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정밀 측위기법과 수치정보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국보 제 9호인 정림사 5층석탑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표준오차 1mm이내의 정확도로 3차원 수치정보를 구축하여 공간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정확하게 3차원 모델링이 가능하였고 면적·체적 산정 및 각 단면의 기하학적 해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으며 중심축의 위치와 기울기 등도 도출할 수 있었으므로 앞으로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안전진단은 물론 미술사 연구 등에도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t has the important significance to study of 3 dimensional precision surveying and analysis system for con-servation of culutral properties. This study is about to efficient precision surveying methods and analysis of di-gital information data for conservation of cultral properties. We acquire the photos and construct the 3 di-mensional digital information in 1mm accuracy, and carry the spatial analysis to five story pagoda at Chongrim-sa temple site of National Treasure No.9 of Korea. In result, we carry the 3 dimensional modelling accurately trial axis. So, we expect efficient use of as well study of art history as safety diagonise for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