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역사 E-Book 편찬 프로젝트
- 한.중.일 비교문화연구소
- 한.중.일 비교문화연구소 간행물
- 2009 韓中日 비교문화 논문공모전 수상집
-
2009.1157 - 70 (14 pages)
- 82
·목표 : 창조적인 방식으로 한·중·일의 역사 왜곡 문제를 해결하고 한·중·일 학생들의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것. ·2차 목표 -새로운 역사 편찬물을 학생들이 함께 만들어감으로써 스스로가 미래사회의 협동 동력임을 깨우치게 함. -IT기술을 발전시키고 구축시키면서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도모함. -교실 밖에 나가지 않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직접 체득하게 함. ·논리적 근거 : 가) 프로그램 구축 필요성 -삼국의 역사왜곡이 심화되는 가운데 역사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교육이 중요 -초등학생 때부터의 교육이 중요 나) 제안한 시스템의 장점 -학생들과 지도 선생님만 있으면 교실 안에서 다양한 토론 가능함. -학생들 스스로가 만들어낸 주체적인 커뮤니케이션임. -과거로부터의 역사가 아닌 현재로부터의 살아있는 역사를 구축함. -새로운 기술의 필요 없이 현존하는 기술로 충분히 이용 가능함. -초등학생들에게 전 세계적인 인적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 -다양한 컨텐츠에 확대사용 가능. ·재정 : 한·중·일의 교육부와 각 나라의 기술서비스를 지원해 줄 수 있는 민간부처의 협조가 필요. ·현재 상태 -한·중·일 모두 구체적인 정보화정책이 있으며 IT 산업의 중요성을 강하게 인식. -IT 산업을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에 지속적인 투자와 성과를 보이고 있음. ·실행 : 각 나라의 IT 기술을 기반으로 2010년부터 한·중·일 학생들이 직접 역사 e-book 을편찬함.
Ⅰ. 1 Page proposal
Ⅱ. 서론
Ⅲ. 유비쿼터스의 상용화로 인한 교육환경의 변화
Ⅳ. 중·일 정보화 정책
Ⅴ. U-러닝을 활용한 새로운 교육시스템 제언
Ⅵ. 재정과 지원
Ⅶ.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