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사업보고서 및 제2차 기초분석 보고서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2009 연구보고서 8
-
2009.011 - 342 (342 pages)
- 70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는 2006년부터 만19세 이상 64세 이하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전국 규모의 패널조사인 ‘여성가족패널조사’를 실시하였고 2009년도 현재 2차년도 조사를 완료하였다. ‘여성가족패널조사’는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 개인과 가족의 변화를 종단적 자료형태로 구축함으로써 급격한 변화의 중심에 있는 여성과 가족, 그리고 그 속에서의 여성의 노동과 일상생활의 변화를 가시화할 수 있는 학문적,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2009년도 여성가족패널조사의 주요 연구 내용은 1차년도 조사자료의 최종 검증과 공표, 여성가족패널 홈페이지 구축을 통한 유저 인터페이스 확립, 1차년도 조사자료에 대한 통계청의 정기통계품질진단 점검, 2차년도 조사의 완결과 데이터 검증, 2차년도 조사자료에 대한 가중치 부여, 2차년도 조사자료의 전문가 릴리즈, 2차년도 조사자료에 대한 기초분석, 1, 2차 조사자료를 활용한 여성가족패널조사 학술심포지움 개최로 대별될 수 있다. 본 보고서 Ⅱ장에서는 여성가족패널조사 2009년 연구추진 사항과 1차년도 조사자료 일반인 공표, 여성가족패널 홈페이지 구축, 여성가족패널조사에 대한 통계청 정기품질진단 결과에 대한 통계청 정기품질진단 결과를 수록하였다. Ⅲ장에서는 여성가족패널 2차년도 조사를 개관하고 조사내용을 소개한다. 2차년도 설문지 변경내용과 조사대상 및 추적원칙을 소개하고, 2차년도 조사 패널 유지율을 수록하였다. Ⅳ장에서는 2차년도 조사 가중치 부여방안에 대해서, 기초이론과 외국의 연구를 참고하여 여성가족패널의 가중치 부여 방안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알아보겠다. Ⅴ장에서는 2008년 10월~2009년 6월까지 실시된 여성가족패널조사 2차년도 조사 자료에 대한 기초분석 내용을 실었다. Ⅵ장에서는 2009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5차년도(2010년) 연구계획과 5차년도 이후 장기연구계획을 수록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2006년부터 해마다 발간되어 온 관계로 지난 년도 보고서들의 주요 연구내용들도 본문 Ⅰ장 서론에서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Abstract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2009 the Second Year Annual Report Tack-meon Lee Seung-youn Kim Won-kyu Woo Ju-young Lee Seog-hoon Kang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has conducted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in order to trace changes in women's lives in Korea. Specifically, the survey was designed to cover women's economic activities, family relationships and structures, and everyday lives. The KLoWF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database both for academic researches and policy analyses related to gender issues. The first wave data was gathered in 2007, interviewing 9,068 households and 9997 individuals. The second wave data gathering was commenced in the October of 2008, being successfully concluded in June, 2009. In the second wave, a total of 9,168 households were to be interviewed, among which 9,068 were original households and 100 split-offs, of which 7,750 households (7,704 original + 46 split-off) have been successfully interviewed. Of the 9,068 original households, reponse rate amounted to 85.0%(9,068 vs. 7,704 households). Of the 9997 original household members, 83.7%(8,364 member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ason why the KLoWF has failed to get a higher level of response rate is scrutinized. A rudimentary descriptive analysis of the second wave data is provided, variable by variable, in the report. The KWDI developed a website(http://klowf.kwdi.re.kr) to communicate with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using the KLoWF data. In the July of 2009, the first wave data was finally released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is website after a tedious and scrupulous data verification process. Filling out a brief form of registration, anyone can have an instant access to the whole body of the first wave data sets and related documents. In addition, the website provides an access to various kinds of publications such as annual reports, statistical reports, and technical reports. To promote the KLoWF data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the KWDI published semiannual booklets, <KLoWF Panel Brief>, in May and October. In addition, the KWDI held a series of panel forums foc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survival analysis, discrete panel data analyses, and multi-level modeling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ongitudinal data analysis. The KWDI is going to hold an academic symposium inviting a number of prominent researchers to present academic articles using the first and second wave KLoWF data in the December of 2009.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여성가족패널조사의 필요성과 차별성
나. 여성가족패널조사의 목적과 기대 효과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2006년 여성가족패널조사 보고서의 주요내용
나. 200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보고서의 주요내용
다. 2008년 여성가족패널조사 보고서의 주요내용
라. 2009년 여성가족패널조사의 주요 연구내용
마. 연구 방법
Ⅱ. 여성가족패널조사 2009년도 연구 추진 현황
1. 2009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주요 연구일지
가. 주요 연구 내용
나. 주요 연구내용의 진행 과정
2. 1차년도 조사자료 일반인 공표
가. 1차년도 조사자료 최종 클리닝 결과
나. 에러 가구 삭제 경위
다. 데이터 클리닝 내용
라. 가공변수 생성
마. 최종 공표된 1차년도 조사자료에 대한 기초분석
3. 여성가족패널 홈페이지 구축
가. 여성가족패널 홈페이지 구축 목적
나. 여성가족패널 홈페이지 구성 및 내용
4. 여성가족패널조사에 대한 통계청 정기품질진단 결과
가. 진단결과 품질차원별 평가
나. 여성가족패널조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Ⅲ. 여성가족패널 2차년도 조사 개관
1. 2차년도 설문지 변경내용
가. 가구용 설문지 변경내용
나. 개인용 설문지 변경사항
다. 일자리용 설문지 변경사항
2. 2차년도 조사대상 및 추적원칙
가. 추적원칙
나. 조사 대상
3. 2차년도 조사 패널 유지율
가. 패널 유지율
나. 조사 성공률 제고를 위한 노력
다. 조사 실패 사유
라. 실사기간 지연 사유
Ⅳ. 여성가족패널조사 2차 웨이브 이후의 가중치 부여방안 연구
1. 서론
2. 가중치 부여방안에 대한 기초 이론
가. 패널조사에서 횡단면가중치 작성의 기본 이슈
나. 가중치 공유방안(weight share approach)
3. BHPS와 HILDA의 가중치 부여방안
가. BHPS
나. HILDA
다. 가구가중치
라. 개인가중치
4. 여성가족패널의 가중치 부여 세부 방안
가. 가중치의 종류
나. 종단면가중치 산정방안
다. 비표본가구원과 가구횡단면가중치 산정방안
라. 구체적인 작업 계획
Ⅴ. 여성가족패널 2차년도 조사자료에 대한 기초분석
1. 원가구
가. 조사가구의 특성
나. 가구소득 및 소비
2. 여성과 가족생활
가. 연령 및 학력별 특성
나. 혼인상태별 특성
다. 임신경험 및 출산계획
라. 자녀교육
마. 자녀와의 관계
바. 부모님과의 관계
사. 가치관
아. 개인특성/건강/여가
자. 노후생활
3. 여성과 일
가. 지난 조사 때부터 계속 가지고 있는 일자리
나. 지난 조사 이후 새로 가진 일자리
다. 일자리 만족도
라. 비취업자
마. 취업자, 비취업자 공통설문
4. 신규가구 및 신규응답자 특성
가. 신규조사가구의 특성
나. 신규가구의 가계소득 및 자산
다. 신규 여성 응답자
Ⅵ. 향후 일정
1. 5차년도(2010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연구사업 계획
2. 5차년도 이후 장기계획
참고문헌
부록
1. 패널 포럼 발표원고
2. 여성가족패널 2차년도(2008) 설문지 소개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