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연구보고서

남성의 균형적 삶을 위한 젠더의식 개선방안

  • 1,408
커버이미지 없음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젠더의식은 남성의 균형적 삶을 위한 중요한 변수이다. 즉, 젠더의식은 남성의 속성과 역할, 그리고 여성과의 관계 등을 규정함으로써 남성이 무엇을 위해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만약 남성이기 때문에 일에만 매달리고 가정은 등한시해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면 이 사람의 삶은 균형적이기 어렵다. 또한 남성우월적, 성차별 의식을 가지면 주변, 특히 배우자와의 관계가 나빠지거나 혹은 배우자의 삶을 힘들게 하게 되어 역시 삶이 균형을 잃을 것이다. 젠더의식은 균형적 삶을 위한 여러 요인 중의 하나이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전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제기한 문제의식 하에 한국 남성들의 젠더의식을 논하고자 한다. 유교의 영향으로 강한 가부장체제를 가지고 있는 한국에서 남성들은 젠더체제의 수혜자로만 인식되어 왔지만 실제로 많은 한국남성들은 이의 또 다른 희생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성들이 젠더의식의 억압성을 인식하고 보다 실용적이고 균형있는 젠더의식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서 현재 한국남성의 젠더의식의 상황을 파악하고 동시에 젠더의식이 고정적이기보다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임을 고려할 때 젠더의식의 변화과정도 모색하고자 한다. 둘째, 이러한 젠더의식과 남성의 심리안녕감-스트레스, 자존감,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셋째, 위의 젠더의식과 심리안녕감 사이의 관계 패턴에 따라 남성들을 유형화하고 심층면접 및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특정한 젠더의식 유형을 가지게 된 사회화과정을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를 가지고 젠더의식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내용 본 연구에서 중심적으로 다루어지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남성의 젠더의식을 조사하였다. 한국 남성의 젠더의식을 양성평등의식, 외부 압력, 그리고 젠더역할갈등의 세 척도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젠더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수와 각 측면 사이의 상관관계도 조사하였다. 둘째, 남성 젠더의식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규명을 시도하였다. 남성의 젠더의식이 심리적 안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남성 젠더의식 척도와 심리적 안녕에 대한 척도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젠더의식을 형성하는 젠더역할 태도와 역할에 대한 성고정관념, 남성성(masculinity) 이데올로기, 남성 역할갈등, 심리적 상태-자존감, 우울증, 스트레스-와 젠더역할 갈등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젠더의식, 젠더역할 스트레스와 갈등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남성 젠더의식과 심리적 안녕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양성평등의식, 외부 압력, 젠더역할갈등과 스트레스, 자존감 및 삶의 만족 등 심리적 안녕과의 요인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한국남성들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들에 대한 경로분석을 시도하였다. 셋째, 남성 젠더의식 패턴을 도출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결과에서 젠더의식과 심리적 상태의 결합 요인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남성을 4개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본 유형은 향후 한국 남성의 젠더의식 개선을 위하여 개인별로 유형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넷째, 남성 젠더의식 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남성 젠더의식 검사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검사로 나뉜다. 젠더의식 검사는 남성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의식을 자가 진단해 봄으로써 자신의 젠더의식의 상태를 파악하고 젠더의식의 변화를 꾀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남성의 젠더의식 개선을 위한 워크숍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의 남성들을 대상으로 젠더의식의 특성과 젠더의식과 심리적 안녕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5개 광역시도에서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0명, 본 조사는 전문기관의 조사전문가들이 연령과 지역을 고려하여 선정된 각 지역의 대상자

Abstract Development of a Gender Consciousness Enhancement Program for Men's Psychological Wellbeing Soo-yeon Lee Young-joo Paik Kun-seok Park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are to deline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les' gender consciousnes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consciou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develop gender conscious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two steps. The gender consciousness factor is composed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gender role conflict stress.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is measured by stresses felt in job, marital/romantic relation, parental role, financial matter and health;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e Korean men's gender consciousness can be characterized as relatively low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higher level of gender role conflict stress. Gender consciousness turns out to be cor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gender role conflict stress is related to stresses in the five areas and self-esteem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s related to self-esteem. Gender consciousness is also shown to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gender role conflict stress indirectly influences satisfaction with life by influencing stresses, which influence self-esteem, which again influences satisfaction with life. Korean men are divided into four clusters by the ways in which gender consciousness is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rst cluster is composed of men whose both gender consciousness leve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e relatively low. The second cluster has the men whose psychological wellbeing is relatively good even though gender consciousness level is as low as the first cluster. The third cluster has the men whos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as well as gender consiciousness is highest. The fourth cluster is composed of the men who are not very satisfied with life even though their level of gender consciousness is relatively high. There exists correlation between gender consciou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clusters 1 and 3 while in the clusters 2 and 4,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does not exist. Since gender consciousness is proven to influence men's psychological wellbeing, intervention to enhance gender consciousness is justified and programs to enhance gender consciousness are developed. One is the gender consciousness measurement for men by which Korean men can measure their gender consciou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s. Recognition of one's gender consciousness level and its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will provide a momentum to initiate his gender consciousness enhancement efforts. The second one is gender consciousness enhancement workshop. The workshop is composed of four steps of 1. gender consciousness measurement, 2. grouping the participants by four clusters, 3. discussion of gender role conflicts and 4. initiation of gender role journey.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가. 한국 남성의 젠더의식 조사

나. 남성 젠더의식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규명

다. 남성 젠더의식 패턴 도출

라. 남성 젠더의식 개선 프로그램 개발

3. 연구 방법

가. 설문조사

나. 심층면접

다. 문헌연구

라. 자문회의

4. 연구 기대효과 및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논의

1. 젠더의식

2. 남성의 젠더의식

가. 남성 젠더의식의 특성

나. 남성 젠더의식과 심리 안녕과의 관계

다. 남성 젠더역할갈등 척도와 조사

3. 한국 남성의 젠더의식

가. 성고정관념과 성평등의식

나. 젠더역할태도와 갈등

4. 조사도구 개발 및 연구문제

가. 조사도구

나. 연구문제

Ⅲ. 한국 남성의 젠더의식 조사

1. 설문 조사

가. 응답자 특성

나. 변수별 신뢰도와 평균

다. 인구학적 변수별 평균 비교

라. 변수별 상관관계

마. 한국 남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바. 젠더의식과 심리적 상태에 따른 남성의 유형화

2. 심층 면접

가. 면접자 특성

나. 군집별 특성

Ⅳ. 젠더의식 개선 프로그램 개발

1. 목적

2. 검사도구 개발

가. 목적과 활용방안

나. 검사의 내용

3. 워크숍

가. 목적과 활용방안

나. 워크숍의 구성

Ⅴ. 결 론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