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적으로 유발된 당뇨병에서 신경병증의 원인은 산화성 스트레스라고 보고되어 있으며, 알파리포산은 대표적인 대사성 항산화제로 산화성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독성도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알파리포산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당뇨병성 신경병증 신경섬유에 미치는 알파리포산의 효과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흥미로운 연구 주제의 하나이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00~250 gm 사이의 성숙한 Sprague-Dawley 흰쥐 20마리를 사용하였고 정상대조군, 당뇨유발군, 당뇨유발 후 알파리포산 투여군 및 당뇨유발 후 신경성장인자(NGF)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당뇨병의 유발은 streptozotocin (65 mg/kg)을 복강내주사로 1회 투여한 후 1주일 후 혈당이 350 mg/dL 이상인 동물을 대상으로 하였고 알파리포산 (100 mg/kg)은 복강내로, NGF는 피하로 4주간 매일 투여하였다. 투여 4주후 동물을 희생시켜 장딴지신경과 정강신경을 적출한 후 1 μm 두께로 박절, toluidine blue로 염색하였다. 신경의 포토몽타쥬를 만든 후 말이집신경섬유의 수를 계수하였다. 정상대조군 장딴지신경에서 전체 말이집섬유 수의 평균은 844.6±32.05개였고, 정강신경에서는 2742.2±83.08개였다. 당뇨유발군 장딴지신경에서 전체 말이집섬유수의 평균은 868.4±71.14개였고, 정강신경에서는 2781.2±120.03개였다. 당뇨유발 후 알파리포산 투여군의 장딴지신경에서 전체 말이집섬유 수의 평균은 1048.2±52.60개였고, 정강신경에서는 3192.2±173.52개였다. 당뇨유발 후 NGF 투여군의 장딴지신경에서 전체 말이집섬유 수의 평균은 934±159.12개였고, 정강신경에서는 2973±191.24개였다. 실험 결과 알파리포산은 NGF와 비슷한 정도로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신경섬유 재생을 증가시킨다.
The metabolic antioxidant α-lipoate has been shown to be potent antioxidants to regenerate through redox cycling other antioxidants and to raise intracelluar glutathione levels. The peripheral nerve of experimental diabetic neuropathy is reported to related to glucose derived oxidative stress. Thus, it seems that α-lipoate is an ideal substance in the treatment of oxidative neural disorder, i.e. diabetic neuropathy. Twenty Spargue-Dawley rats (200~250 gm) were used and diabetes was induced by a single intraperiti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65 mg/kg). In lipoic acid group, α-lipoic acid which was dissolved in saline adding 2NNaOH and 2N HCI (pH 7.4)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for 4 weeks after streptozotocin treatment. In nerve growth factor (NGF) group, recombinant human NGF were administered in dose of 500 mg/kg subcutaneously everyday for 4 weeks after streptozotocin treatment. After 4 weeks rats were perfused with 3% glutaraldehyde and 4% paraformaldehyde mixed solutions. Tibial nerve was dissected and embedded in epon. One micron thick sections were prepared and toluidine blue stain has been done. Microphotographic montages were made and the total number of myelinated nerve were counted.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n control group, the average total number of myelinated nerve was 2742±83.1 and the diabetic group showed similar number; 2781±120.0. In NGF administered group, the total number was 3037±146.5 and inlipoic acid administered group, the total number was 3101±160.2. With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α-lipoate has similar neuroprotective effect to NGF in diabetic neuropath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