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에서 생기는 복수는 환자의 예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원인 질환의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세포 학적 검사에서 높은 확률로 암세포를 복수에서 검출할 수 있으나 매우 숙련된 판독력이 필요로 하며 위음성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암환자의 복수에서 염색체 표본을 제작하여 암세포의 존재를 조사한 보고는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9명의 암환자에서 발생한 복수를 직접법과 단기간 배양을 한 후 염색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암세포를 검출하는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세포학적 진단 결과와 서로 비교해 보았다. 세포학적 진단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5례에서는 암세포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이들의 복수에서 염색체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1례에서 암세포가 검출되었고 암세포가 존재하리라고 의심되는 경우가 1례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포학적 진단 결과를 얻을 수 없었던 4례에서는 세포유전학 분석 방법으로 3례의 복수에서 암세포를 검출할 수 있었다. 향후 많은 복수를 실험 대상으로 암세포를 검출하는데 세포유전학 검사를 실시하면 이미 가슴막액에서 실시한 서구의 결 과와 유사하게 세포학적 진단보다도 세포유전학 검사가 높은 감수성과 특이성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복수에서 암세포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세포학적 진단과 염색체 검사를 실시하면 세포유전학 방법이 종양세포의 양성 검출율을 높여 세포학 진단 결과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할 것이며 그리고 복막생검과 같은 침입성 진단 방법을 사용할 필요성이 감소할 것이다.
Detecting malignant cells in ascitic f luid from tumor patients is important since the existence of malignant cells in ascitic f luids is related to the prognosis of patients. Various laboratory methods are being used to obtain diagnosis in ascitic f luids, but some ascitic f luids can not be diagnosed reliably. Cytogenetic analysis of ascitic f luid is not used routinely as a laboratory tool. In this presentation a cytogenetic study of the ascitic f luids from 9 patients with malignant tumor was performed by a direct or short-term culture method. According to cytogenetic study, 5 cases had positive f indings for malignant cells. One case had a inconclusive result. There were no malignant cells in the remaining 4 cases. On blind cytologic data, no informations could be obtained in 4 out of 9 cases and the remaining 5 cases had negative findings for detecting malignant cells. Among the 5 cases, cytogenetic findings were negative in 3 cases but in the remaining 2 cases, one was reported positive and the other inconclusive each other. In present study, even though the ascitic f luids from 5 patients were subjected to the comparison of the cytologic study with cytogenetic analysis, two different f indings could be obtained. Therefore if further study of a large series of cancer patients with ascitic fluids is done, the value of cytogenetic analysis will be clearly shown. In addition, the cytogenetic study of cell present in ascitic f luids can be used as useful adjunct to cytologic study, and also it can indicate that more invasive diagnostic procedures are necessar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