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쥐 소뇌의 조직학적 및 형태학적 발달은 주로 출생 이후에 일어나며 소뇌의 국소회로를 형성하는 신경세포들은 각각의 발생시기와 장소, 소뇌피질 특정 부위로의 이동양상, 세포간의 신경연접형성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출생 이후의 소뇌에서 발달단계에 따라 특이한 발현을 보이는 유전자는 소뇌 발달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는 소뇌 발달 단계에 따라 ordered differential display (ODD)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출생후 발달 단계별 흰쥐 소뇌 조직절편에서 in situ hybridization 조직화학법을 시행하여 소뇌 발달단계에 따른 발현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출생후 소뇌 발달단계에 따라 마련한 7종의 cDNA pool (P0, P3, P7, P12, P18, P25, 성숙한 흰쥐 소뇌)에서 시행한 ODD 결과 출생후 21에 가장 높은 발현을 보이는 띠 (PKrCb1)를 선별하여 클로닝하였고 염기서열분석 결과 새로운 유전자임을 검색하였다. 이 새로운 유전자의 소뇌 발달단계별 발현양상을 세포수준에서 관찰하고자 발달 단계별 뇌조직 절편에서 in situ hybridization 조직화학법을 시행한 결과 소뇌 과립세포가 발달과정에서 이동하는 양상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PKrCb1이 소뇌 과립세포가 바깥과립세포층에서 속과립세포층으로 이동하는데 관여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번 실험에 사용된 일련의 기법은 소뇌 발달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확보하고 그 기능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rat that is helpless at birth, the cerebellum is in a corresponding state of immaturity, and its histogenesis and morphogenesis mainly occur after birth. The times and sites of origin of the four types of cerebellar local-circuit neurons, as well as their migration routes to specific positions in the cortex, their distinctive patterns of differentiation and growth, and their synaptogenesis, have been well studied. The stage-specific genes in the postnatal rat cerebellum may be related with these kind of neural development in the cerebellum. To clone the genes related with neural development in the postnatal cerebellum, developmentall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screened from postnatal rat cerebellum with ordered differential display (ODD) and the developmental expression pattern in the postnatal rat cerebella was investigated with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One novel postnatal stage-specific gene (PKrCb1) was cloned by ODD with 7 cDNA pools (P0, P3, P7, P12, P18, P25, adult rat cerebella).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expression pattern of this novel gene on the cell level,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was performed in the developing and adult rat brain sections. The developmental expression pattern of PKrCb1 in the cerebellum was well matched with spatiotemporal migration pattern of granule cells and it may be suspected that PKrCb1 is related with migration of granule cells from external granular layer to internal granular layer.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methods used in this experiment will be the powerful methods for the cloning and primary function study of the genes related with cerebellar developmen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