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겨드랑신경의 분지 변이와 형태계측

Branching Pattern and Morphometry of the Axillary Nerve

  • 52
커버이미지 없음

겨드랑신경에서 분지되는 가지는 여러 해부학교과서에 충분히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네모공간증후군 때 나타나는 다양 한 증상을 이해하는데도 부족함이 많다. 이 연구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한국 성인 시체의 팔 127쪽에서 팔신경얼기 뒤다발에서 신경이 일어나는 형태, 겨드랑신경의 가지가 나뉘는 유형과 가지가 나뉘는 위치 변이를 밝히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팔신경얼기 뒤다발에서 겨드랑신경, 노신경, 가슴등신경이 일어나는 유형을 가슴등신경이 갈라져 나온 곳에 따라 4가지 로 분류하였고 아래어깨밑신경이 분지되는 곳에 따라 각 유형을 다시 세분하였다. 가슴등신경이 일어난 후 노신경과 겨드랑신경이 갈라지는 경우가 42.5%로 가장 많았고, 가슴등신경이 겨드랑신경에서 갈라지는 경우가 27.6%였다. 겨드랑신경 뒷가지가 나뉘는 유형은 작은원근가지가 갈라지는 곳을 기준으로 6가지로 분류하였다. 뒷가지에서 작은원근가지가 일어난 후 어깨세모근가지와 가쪽위팔피부신경이 갈라지는 경우가 50.8%였다. 아래어깨밑신경이 겨드랑신경에서 갈라진 경우가 70.9%였다. 겨드랑신경이 팔신경얼기 뒤다발에서 갈라지는 곳은 네모공간의 어깨밑근 모서리부터 평균 61.3mm였고, 부리돌기 끝에서 겨드랑신경 줄기까지의 거리는 평균 39.9mm였다. 네모공간에서 겨드랑신경은 뒤위팔휘돌이동맥의 안쪽 에 있었고 동맥과 신경이 비슷한 높이에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겨드랑신경의 가지가 나뉘는 변이와 그 임상적의미를 고찰하였다.

The branches of the axillary nerve and branching pattern of the posterior cord of the brachial plexus are not fully described in the anatomy textbooks.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axillary nerve is needed to understand various symptoms of quadrilateral space syndrome. We studied on the branching patterns and variation of the axillary nerve and posterior cord of brachial plexus in 127 adult cadaver arms. The axillary, radial and thoracodorsal nerves arising from the posterior cord of the brachial plexu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oracodorsal nerve. The most common type (42.5%) was that the three nerves directly arising from the posterior cord. The thoracodorsal nerve branched from the axillary nerve in 27.6%. The posterior branches of the axillary nerve were divided into 6 types by the arising point of the nerve to teres minor muscle. The deltoid branch and lateral superior brachial cutaneous nerve were divided after branching of nerve to teres minor muscle in 50.8%. The lower subscapular nerve was branched from the axillary nerve in 70.9%. We measured the distances from the branching point of the axillary nerve to the inferior border of the subscapularis in the quadriangular space and from the coracoid process to the axillary nerve. The length and motor point of the teres minor muscle were measured. The relationship of the axillary nerve and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y was observed. The axillary nerve was always medial to the artery and their superoinferior relationship was variabl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axillary nerve was discuss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