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차나무 재배지 토성이 차잎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Texture on Quality and Quantity of Leaf in Tea Plant(Camellia sinensis (L) O. Kuntze) - Centering around Farmers at Hwagae, in Hadong County, South Gyeongsang Province -

  • 128
105366.jpg

재배지 토성이 차잎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차나무 집단재배지나 신규다원 조성시 적지 선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2007년 3월 23일부터 2008년 10월 17일까지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일원에서 수행한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첫물차 수확기 생육 상황은 1) 년차간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신초장이나 엽장, 엽폭, 엽면적은 사양토에서 가장 크거나 넓었으며, 처리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2) ㎡당 신초수와 생엽 수량은 양토에서 가장 많았으며, 식양토에서 가장 적었으나, 처리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고, 백아중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나. 두물차 수확기 생육상황에서는 1) 년차간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신초장이나 엽장, 엽폭, 엽면적은 식양토에서 가장 크거나 넓었으며, 처리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2) ㎡ 당신초수와 생엽 수량은 양토에서 가장 많았으며, 식양토에서 가장 적었고, 백아중은 식양토에서 가장 무거웠으나 처리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다. 토성별 차 잎의 일반 성분 중 수분과 회분, 지방은 양토에서 단백질함량은 식양토에서 가장 많았으며, 년차간과 처리간에도 큰 차이가 없었다. 라. 토성별 차 잎의 무기 성분 중 MgO와 Na₂O 함량은 년차 간과 처리 간에 큰 차이 없이 양토에서 가장 많았다. 마. 양토에서 EGC와 EC 성분함량은 많으며 탄닌 함량은 가장 적었고, Caffeine 과 ECG, EGCG, Catechin 성분함량은 식양토에서 가장 많았으나 사양토에서 가장 적었다. 바. 차나무 재배지 토성에 따른 경제성 분석결과 소득은 사양토 853,600원보다 양토에서 44.2%, 식 양토에서12.6% 더 많았다. 현재까지 차밭 조성 시 재배면적을 넓히는데만 역점을 두고 다원조성을 하였으며 경남지역의 토성과 지역여건에 알맞은 다원조성은 아니었다. 신규로 다원을 조성 할 때는 차 잎의 생산성이나 품질을 향상 시키려면 ㎡당 신초수나 생엽수량, EGC와 Ec 함량이 많고, 탄닌 성분함량이 적은 양토에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il texture on yield and quality of tea leaf. The obtained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growth of tea plant in first harvesting season by soil texture, length of new bud, leaf width, and leaf area were most in sandy loam soil. Length of new bud per ㎡, 100 buds’ weight were most in loam soil. That of tea plant in second harvesting season, length of new bud, leaf width, and leaf area were most in clay loam soil. Also length of new bud per ㎡ and yield of green tea were most in loam soil, and 100 buds’ weight were most in clay loam soil. In tea leaf’s general composition by soil texture, moisture, lime, fat were most in loam soil, but protein was most clay loam soil. In tea leaf’s mineral element, MgO and Na2O were most in loam soil. In tea leaf’s functional property element, EGC and EC were highest in loam soil, while caffeine, EGCG, ECG and catechin were mostly detected in clay loam soil. Income of green tea was most in loam soil. In conclusion, it’s recommendable to make new tea plantation in loam soil.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0)

(0)

로딩중